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물가 6%' 급등에도 가까스로 반등한 코스피...증시 안정 찾을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7.05 17:16

외국인-기관 매수세에 코스피 2300선 회복



경기 둔화 우려 만연, 원/달러 환율 1300원대 마감



한은 빅스텝 기정 사실화..."경기 회복국면 전환만이 살길"

ㅎㅁㅁㅁㅎ.png

▲5일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사진=KB국민은행)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5일 국내 증시는 저점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가까스로 반등했다. 그러나 경기 침체 우려,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 등으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되면서 외국인의 국내 증시 이탈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현재 국내 증시 침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인 만큼 당국이 내놓을 수 있는 대책은 많지 않다고 조언했다. 오히려 공매도 금지 조치 같은 대책들이 외국인의 증시 이탈을 가속화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에서는 과거 사례를 참고해 국내 금융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절실하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41.44포인트(1.8%) 오른 2341.78에 마감했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108.22)가 작년 같은 달보다 6% 상승하며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음에도,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코스피는 반등에 성공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2393억원, 1353억원어치를 사들이며 지수 상승세를 견인했다. 시가총액 상위주도 대부분 강세로 마감했다. 삼성전자가 전일 대비 0.53% 오른 5만7400원에 마감했고, LG에너지솔루션(1.26%), SK하이닉스(3.48%), NAVER(2.98%), LG화학(2.6%), 카카오(4.7%) 등도 올랐다. 현대차(-0.84%), 현대모비스(-0.25%), 현대중공업(-1.85%), 현대글로비스(-0.55%) 등 일부 종목은 약세였지만, 하락 폭은 크지 않았다.

코스닥지수도 전일 대비 28.22포인트(3.9%) 오른 750.95에 마감했다. 외국인이 2762억원어치를 순매수했고, 기관 역시 807억원어치를 사들이며 지수 상승에 힘을 보탰다. 개인 홀로 3279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3.2원 오른 1300.3원에 거래를 마쳤다. 올해 들어 환율이 종가 기준 1300원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달 23일(1301.8원) 이후 두 번째다. 국내 경기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원화 선호 심리가 약해졌다.

76676.jpg

▲최근 1년간 코스피 지수 추이.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우려, 금리인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등으로 당분간 국내 증시가 반등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당장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에너지 및 식품 가격 상승, 원화 약세 등 국내 물가에 악재가 지속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6%대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이제 시작’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7월부터 전기료 인상이 예정돼 물가 추가 상승이 불가피하다"며 "유가가 유의미하게 하락하지 않는다면 연말까지 6% 물가상승률은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연간 기준으로는 5% 중반 수준을 기록해 한은의 기존 전망치인 4.7%대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음주 예정된 7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빅스텝(0.5%포인트 인상) 카드를 꺼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제는 이미 예고된 국내 증시의 악재를 방어할 만한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개인투자자들의 요구 사항 중 하나인 공매도 전면 금지는 오히려 외국인의 국내 증시 이탈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대책으로 보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실제 외국인 투자자는 올해 들어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에서 약 20조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전반적으로 경기 회복 국면으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국내 증시도 반등을 모색하기 쉽지 않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인플레이션, 금리인상, 경기 침체 등으로 증시가 침체된 상황에서 당국이 가동할 수 있는 조치는 많지 않다"며 "현재는 국내 증시보다는 경기 침체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경제 정책을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금융당국이 이달 1일 발표한 증시 변동성 완화 조치 외에 추가적인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당국은 4일부터 9월 말까지 증권사의 신용융자담보비율 유지의무를 면제하는 등의 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국내 증시를 둘러싼 불안 심리를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인 만큼 개인투자자들이 실감할 만한 비과세 조치 등을 강구하는 것이 절실하다는 목소리다.

증권가 관계자는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현재 공매도 물량이 많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공매도 금지 조치보다는 국내 증시 환경에 맞는 각종 대책들을 내놓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정부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시그널만 보내도 불안한 투자심리를 잠재우는데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