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연숙

youns@ekn.kr

김연숙기자 기사모음




수소충전소 가동 하면 할수록 ‘적자(?)’…수소전용요금제 신설 요구 높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6.27 17:43

부생수소 생산·공급 한계, 천연가스 추출수소 공급 충전소 확대



생산원료인 가스요금 오르고 소비자요금은 해외에 비해 저렴해

2022062801000991400041261

▲대구혁신도시에 설치된 한국가스공사 수소충전소 H2U 전경.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천연가스 가격 폭등으로 인해 추출수소를 공급하는 수소충전소가 심각한 경영난에 빠지게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된다. 신규 가동을 앞두고 있는 일부 수소충전소의 경우 가동을 하면 할수록 손해를 보게 되는 구조여서 ‘수소전용요금제’ 신설 요구가 뜨겁다.

27일 정부 및 업계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가동 중인 수소충전소는 약 85개 안팎이다.

현재 대부분의 수소충전소에서는 석유화학 공정 등의 과정에서 얻게 되는 부송수소를 튜브트레일러를 이용해 각 지역으로 운송 후 공급한다. 석유화학단지를 중심으로 생산되는 국내 부생수소는 생산량은 연간 약 200만 톤 규모다.

석유화학 공정의 가동률과 연계되는 부생수소의 특성상 생산량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때문에 부생수소는 일반적으로 ‘수소경제시대를 대비한 준비물량’으로 분류된다.

수소차 보급이 본격적으로 이뤄지지는 시기에 접어든 요즘은 천연가스를 개질해 생산하는 ‘추출수소’ 공급 충전소가 확대되고 있다.

창원, 상암 수소충전소의 경우 추출수소 공급을 이미 시작했으며 내달 정식 가동을 앞두고 있는 평택수소충전소 또한 추출수소를 공급할 예정이다.

기존 추출수소 충전소의 공급량이 연간 1만 톤 내외에 그친 반면, 평택수소충전소의 수소 공급량은 연간 약 7만 톤 규모로 확대된다. 이는 수소차 약 30만대에 충전 가능한 규모다.

수전해 방식으로 얻는 청정수소를 생산 또는 수입해 공급하기 전까지는 천연가스 개질을 통한 ‘추출수소’ 공급이 필수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청정수소 공급이 원활해지기 전까지 추출수소를 공급하는 수소충전소 또한 지속 확대될 전망이다.

하지만 수소충전사업자들은 벌써부터 ‘적자의 늪’에 빠지는 걱정이 앞선다. 수소생산 원료인 가스 가격은 폭등한 반편,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소매가는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게 책정됐기 때문이라는 것.

업계에 따르면 현재 수소충전소는 도시가스사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수소를 생산한다. 원재료인 가스는 불과 1~2년 사이 약 60% 안팎 가격 인상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수소충전소에서 공급하는 소매가격은 kg당 8800원(부가세 포함)이다. 미국, 일본 등에서 kg당 약 1만2000원 안팎에 거래되는 것과 비교하면 매우 저렴한 수준이다. 향후 청정수소 공급 시 kg당 3000원까지 낮추겠다는 게 정부 목표다.

수소차는 1회 충전 시 약 600km 운행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휘발유, 경유는 물론 액화석유가스(LPG) 차량보다도 높은 연료 경제성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유가 등에 연동하는 수소가격 책정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수소전용요금제 신설 등을 통해 원료비와 소비자가격 간 지나친 간극을 적절히 조율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원료비를 포함한 수소생산비용과 튜브트레일러 운송비용 두 가지만 합해도 거의 소비자가격에 육박해 수소충전소를 가동하면 할수록 적자를 보는 구조가 됐다"며 "수소전용요금제 신설을 통해 수소가격에 대한 합리적인 조정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youn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