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유예닮

yyd0426@ekn.kr

유예닮기자 기사모음




그린피스, 후쿠시마 방사능 제염 힘들어...산림지역은 제염 불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3.04 16:09
2021030401000227600009181

▲후쿠시마 오염수 저장 탱크.


[에너지경제신문 유예닮 기자] 환경보호단체 그린피스는 2011년 발생한 동일본대지진으로 방사능 유출 피해를 입은 일본 후쿠시마의 제염(除染) 구역 대부분이 여전히 방사성 세슘으로 오염돼있다고 밝혔다.

4일 그린피스는 ‘2011~2021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의 현실’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대대적인 제염 작업에도 불구하고, 정부 자체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제염특별구역 중 작업이 완료된 면적은 15%에 불과하다"라며 "가장 큰 이유는 후쿠시마현의 상당 부분이 제염이 불가능한 산림지대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그린피스의 조사 결과 (일본) 정부가 제염을 책임지는 제염특별구역(SDA) 대부분이 여전히 방사성 세슘으로 오염돼 있음을 알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의 장기적 제염 목표는 0.23μSv/h(마이크로시버트)로 이는 일반인에게 권고되는 연간 피폭 한도다.

이에 대해 그린피스는 "지난 10년 동안 진행된 그린피스 조사에선 이 목표치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가 계속 측정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장기 목표치 달성의 시점을 한 번도 기한을 언급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린피스는 후쿠시마현 산림지대에서 솔잎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스트론튬-90’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스트론튬-90은 방사성 핵종으로 체내로 들어가면 뼈와 골수에 축적돼 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라면서 "일본 정부는 세슘을 제외한 스트론튬-90을 비롯한 기타 방사성 핵종의 잠재적 유해성을 무시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후쿠시마 원전 부지 내에 위치한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에도 상당한 양의 스트론튬-90이 존재하는데, 일본 정부는 이를 태평양에 방류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처리수’라고 부른다.

그린피스는 원자력 오염지역 내 주민과 작업자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그린피스는 "방사선이 안전 기준치 이상 발견되는 곳의 피난 명령도 해제됐기 때문에 주민들의 암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라며 "특히 어린이와 여성들에게 위험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2018년까지 연인원 1300만명의 작업자들이 제염 작업에 참여했으며, 대부분 하도급 업체 직원들"이라며 "작업자들은 고준위 방사선에 노출됐지만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위험한 작업 환경을 받아들여야만 하는 상황"이라며 우려했다.

방사능 오염과 관련, 사토 사토시 전 제너럴일렉트릭(GE) 원자력기술 전문가는 ‘후쿠시마 제1원전 폐로 기술분석’이라는 보고서에서 "(일본 정부는) 폐로 작업을 30~40년 내 완수해 사고 전과 같은 자연 상태로의 복원을 이룬다는 목표를 고수하고 있다"라며 "지난 10년간 발전소 부지에서 어느 정도 진척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일본 정부의 원전 폐로 중장기 로드맵은 실현 불가능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GE의 원자력 사업부에서 기술 및 현장 엔지니어링 관리 책임을 맡았던 전문가로, 후쿠시마 제1원전의 GE 현장 대표였다.

사토는 일본 정부에 "원자로 내에 녹아내린 핵연료(데브리)를 제거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계획이 없다"라며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그는 "원자로 냉각을 위한 지속적인 냉각수 주입과 주변 지하수의 원전 유입으로 인해 방사성 오염수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며 우려했다.

또한 일본 정부가 제시한 ‘플랜 A’와 ‘플랜 B’로는 계획대로 30~40년 안에 폐로 작업을 이행하기 어렵다며 ‘드라이 아일랜드’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지하수가 원전 부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플랜C’를 제시했다.

그린피스는 이날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두 보고서의 내용을 설명했으며, 사토는 자신의 보고서가 반드시 그린피스의 의견과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yyd0426@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