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일 업계에서는 LG전자 MC사업본부를 인수할 잠재적 후보로 구글, 페이스북, 폭스바겐, 베트남 빈그룹 등이 거론된다.
구글은 모바일 운영체제 안드로이드로 애플의 iOS와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양분하고 있으나 자체 생산하는 스마트폰에서는 힘이 약하다. 구글은 넥서스 시리즈를 선보이고 모토로라를 인수하는 등 스마트폰 사업 강화를 끊임없이 추진해왔다. LG전자와는 2012~2015년 넥서스4, 5, 5X를 잇따라 선보이는 등 협업한 사례가 있다.
페이스북은 2014년 인수한 자회사 오큘러스를 통해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사업에 관심이 많다. 향후 AR·VR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스마트폰과의 기술적 결합을 강화하고 관련 생태계를 확장하는 상상을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스마트폰 제조사 빈스마트를 운영하는 베트남 빈그룹도 인수 후보로 꼽힌다. 중저가 제품에 강점이 있는 빈스마트가 LG전자의 베트남 공장 및 프리미엄 제품 기술력을 확보함으로써 사업 확대를 꾀할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온다.
독일 자동차기업 폭스바겐도 전장 사업 강화를 위해 인수에 뛰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 있다. 자동차 산업이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모빌리티로 급전환하면서 이를 위한 핵심 단말인 스마트폰 기술에 대한 수요가 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중저가 모델 위주의 사업 구조를 가진 중국 업체들도 LG전자의 프리미엄 제품력에 대한 갈망이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매각 작업 자체가 흥행하기 힘들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이미 자리를 잡은 상태에서 점유율이 1~2% 수준에 그치는 LG전자 스마트폰의 매력도가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코로나19 이후 얼어붙은 시장이 여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라는 점도 변수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LG전자가 당분간 모바일 사업 축소와 재편에 주력하고 매각 작업은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