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면 예배를 강행해 논란이 된 부산 강서구 세계로 교회에서 7일 오전 신도들이 방역 당국의 ‘비대면 예배’ 조치에 항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거리두기 장기화로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면서도 확진자 수 재증가를 우려했다. 특히 교회 등 종교시설에 대한 방역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는 16일 "방역만 놓고보면 조치를 완화하면 안 된다"면서도 "그간 방역 조치가 너무 오래 이어졌기 때문에 일부는 숨통을 틔워줘야 할 필요가 있었다"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말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속된 영업제한 등으로 국민적인 피로감이 있어 조치를 풀지 않을 수도 없었겠지만, 조치 완화로 방역에 대한 국민의 경각심이 풀어질 수 있어 정부로서는 진퇴양난이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김 교수는 이번 조치의 영향에 대해 "확진자가 더 줄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이날 교회의 경우 좌석 수 10% 이내 참석을 조건으로 일요일 정규 예배를 허용했고, 노래방도 8㎡(약 2.4평)당 1명 인원 제한 하에 영업금지 조치를 풀었다.
이에 전문가들은 종교시설 집합금지 조치 완화로 인한 확진자 급증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코로나 1차 대유행을 부른 신천지(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대구교회)나 2차 대유행의 시발점이 된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 그리고 최근 관련 확진자 수가 700명을 넘어선 경북 상주시 ‘BTJ열방센터’ 등이 모두 종교시설이었다는 점을 미루어봤을때 이번 완화조치가 상당한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기 교수는 "종교시설은 예배만 보는 것이 아니라 사적 모임으로 이어지는 데다 수도원과 기도원 등에서도 감염이 나오고 있다"며 "종교시설 집단감염을 확실히 잡지 못하면 ‘4차 유행’이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그러면서 "종교시설이 다중이용시설로 지정되지 않아 소방, 환기 기준이 없다. 지하에 위치한 소규모 개척교회 등은 (방역에) 위험한 사각지대가 많다"고 덧붙였다.
질병관리본부장을 지낸 정기석 한림대 의대 교수도 "지하에 있는 작은 교회는 10%만 허용한다고 해도 마스크를 쓰지 않거나 하는 경우 위험할 수 있다"면서 "천장이 높고 공간이 넓은 대형 교회는 괜찮을 수 있지만, 예배가 끝난 이후 찬양 연습이나 식사에서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