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박경민 기자] 서울시는 지난 25일 제17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서울 신내2 지구단위계획 결정 변경안을 수정가결했다고 26일 밝혔다.
변경안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이전건립을 위한 것으로 지구단위계획에 있어 용도지역을 제2종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변경했다. 또 도시계획시설 가운데 고등학교를 폐지하고 완충녹지의 위치를 변경했다.
강남구 개포동에서 중랑구로 이전하는 SH공사 신사옥은 지상층 연면적 4만㎡ 이상의 업무시설, 근린생할시설 등 부대시설들로 구성된다.
사옥뿐 아니라 부족한 동북권역의 문화시설 확충을 위해 600석 규모의 공연장도 건립할 예정이다. 또 운영에 있어서 건축물 내 커뮤니티공간, 주차장 등을 지역 사회와 함께 공유할 예정이다.
사옥 이전은 2021년 건축설계 공모를 진행하고 2022년 착공돼 2024년도에 준공 및 청사 이전이 진행될 예정이다.
사옥 이전이 가시화돼 인재개발원과 서울연구원 등의 타 공공기관 이전계획 추진에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화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서울신내2 지구단위계획 결정 변경은 서울시의 강남북 균형발전 정책의지를 명확히 보여준 것이다"며 "서울주택도시공사의 이전이 차질 없이 추진돼 지역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변경안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이전건립을 위한 것으로 지구단위계획에 있어 용도지역을 제2종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변경했다. 또 도시계획시설 가운데 고등학교를 폐지하고 완충녹지의 위치를 변경했다.
강남구 개포동에서 중랑구로 이전하는 SH공사 신사옥은 지상층 연면적 4만㎡ 이상의 업무시설, 근린생할시설 등 부대시설들로 구성된다.
사옥뿐 아니라 부족한 동북권역의 문화시설 확충을 위해 600석 규모의 공연장도 건립할 예정이다. 또 운영에 있어서 건축물 내 커뮤니티공간, 주차장 등을 지역 사회와 함께 공유할 예정이다.
사옥 이전은 2021년 건축설계 공모를 진행하고 2022년 착공돼 2024년도에 준공 및 청사 이전이 진행될 예정이다.
사옥 이전이 가시화돼 인재개발원과 서울연구원 등의 타 공공기관 이전계획 추진에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화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서울신내2 지구단위계획 결정 변경은 서울시의 강남북 균형발전 정책의지를 명확히 보여준 것이다"며 "서울주택도시공사의 이전이 차질 없이 추진돼 지역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서울시 중랑구로 이전하는 서울주택도시공사 신사옥 위치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