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창용 기자

creator20@naver.com

조창용 기자기자 기사모음




[긴급분석]"금피아 대신 서금회"...우리은행 차기행장 이광구 부행장 '내정설'파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4.12.02 22:16

이광구 띄우느라 이순우 포기시키고 들러리 후보 선정조차 '개입'

[에너지경제 조창용 기자]금융권 관료 마피아를 뜻하는 '금피아'가 '서금회'(박근혜 대통령 모교인 서강대출신 금융인 모임)에 자리를 내 줄 모양이다. 우리은행 차기행장에 서금회 출신 이광구 부행장이 내정됐다는 설이 금융가에 파다하기 때문. 하지만 최근 KB국민금융지주 회장 선출의 예처럼 막판 역풍이 불 수도 있는 만큼 예단은 금물이다.

우리은행 행장후보추천위원회(행추위)는 2일 오전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2차 회의를 열어 이 부행장과 김양진 전 수석부행장, 김승규 부사장을 면접 대상자로 선정했다. 당초 유력 후보 중 한 명이던 이순우 우리은행장은 지난 1일 연임 포기 의사를 밝혔다.

금융계에서는 서강대 출신 금융인들의 모임인 ‘서금회’가 지원하는 이광구 부행장이 사실상 차기 행장으로 내정됐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금융업계 인사에서 서금회 관련 논란이 커지면서 최종 행장 선임 결과는 두고봐야 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행추위는 오는 5일 3차 회의에서 3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한 후 최종 후보를 선정해 9일 임시 이사회에서 후보를 확정할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30일 주주총회에서 차기 행장을 공식 선임할 예정이다.

최근 서금회가 주목 받은 계기는 대우증권 사장 선임 과정에서였다. 연속 무산 끝에 서금회 회원인 홍성국 부사장이 내정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서금회 멤버인 이광구 부행장이 갑작스레 차기 우리은행 행장으로 급부상하면서 신관치 논란까지 낳고 있다.

금융계에서 관피아가 사라진 자리를 서금회가 차지하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게다가 우리은행의 행장 인선이 파행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은행 측이 지난달 금융당국과 청와대에 후보로 추천했던 3명의 인물이 모두 낙마하고 말았다. 이동건 수석부행장, 정화영 중국법인장 등 당초 후보로 추천됐던 인사들은 자의반 타의반 후보직을 포기했다.

대신 제3의 추천에 의해 청와대 검증 과정에서 사실상 내정 단계에 들어선 이광구 부행장과  김양진 전 수석부행장, 김승규 부사장이 최종 3명 후보에 포함됐다. 들러리 후보선정에조차 철저히 개입했다는 논란의 여지를 남긴 대목이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의 차기 행장 인선작업은 최종 확정 후에도 적지 않은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게 됐다.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일부는 이미 임기 전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광구 부행장이 차기 행장 최종 후보로 선정될 경우 최근 논란의 중심에 서있는 서금회 득세 논란은 적잖은 파장을 불러올 것이다.

이광구 부행장은 행장직 도전 등을 염두에 두고 본인의 SNS에 올려 둔 것으로 보이는 “위기를 기회로, 하면된다. 파이팅”이라는 문구를 모 언론보도 이후 곧바로 삭제했는 데, 이는 곧 이 부행장 역시 서금회 논란, 내정설 등을 의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금융권과 학계에서는 KB 회장, 은행연합회장, 우리은행장 등 외압설과 특정 인사 내정설이 끊이지 않는 것에 대해 “당국과 금융권의 후진성을 보여주는 극명한 사례”라며 新관치 시대의 도래를 우려했다.

한편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은 2일 “금융권 밑바닥에서부터 ‘금융권 인사가 개판’이란 한탄이 나오고 있다”며 “청와대와 금융당국이 금융산업을 망가뜨리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노조는 이날 성명을 내고 “금융권 인사가 막장으로 가고 있다”며 “최근 은행연합회장 선임 과정에서 터져나온 금융당국 ‘내정’ 논란이 가라앉기도 전에 우리은행 차기 행장 인선에 ‘관피아’, ‘정피아’, ‘연피아(금융연구원)’도 아닌 이름도 낯선 ‘서금회’ 연줄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노조는 “금융권 인사가 인맥과 연줄로 엉망이 되고 있다”며 “이러고도 대통령이 강조한 ‘창조경제’나 ‘혁신금융’이 가당키나 한 말이냐”고 반문했다. 노조는 “금융위원회가 최근 금융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만들었지만 청와대와 금융당국이 금융권 인사에 개입하는데서야 아무 소용이 없다”고 했다.

노조는 “청와대와 금융당국은 ‘비정상의 정상화’니 ‘낙하산 인사 근절’을 말로만 떠들게 아니라 몸소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스스로 기본을 지키지 못하는데 어느 국민이 정부 정책을 신뢰하고 따르겠는가. 금융권에 대한 관치 낙하산 인사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