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초 이후 코스피 추이.(사진=구글 화면 캡쳐) |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이번주 국내 증시는 미중 무역갈등 격화와 일본의 경제제재 등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으로 인해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오는 14일 중국이 7월 소매판매와 고정자산투자를, 15일에는 미국이 7월 소매판매 지표를 발표한다.
그러나 이들 지표에 대한 기대감은 높지 않다. 중국 소매판매의 경우 6월 소비 서프라이즈를 이끈 자동차 기저효과 및 판촉행사 등의 일회성 요인이 사라지면서 7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중국이 인프라 투자 관련 뚜렷한 부양책을 내놓지 않은 만큼 투자 증가율 역시 둔화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이번주 국내 증시는 결국 미중 무역분쟁과 일본의 경제제재, 그로 인한 국내 기업들의 3분기 실적 둔화 등이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은 이달 7일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목록·수출 간소화 우대국) 제외 관련 시행세칙에서 추가로 개별허가 품목을 지정하지 않은 데 이어 같은 날 반도체 소재 등 3대 품목 중 하나인 포토레지스트의 대한국 수출을 34일 만에 처음으로 승인했다.
우리 정부도 당초 이달 8일 일본을 한국의 백색국가 명단에서 제외하는 시기와 방식 등을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논의가 더 필요하다"며 이를 추후로 미뤘다.
그럼에도 정부는 한일 갈등이 ‘유화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일본의 최근 조치는 한국에 대한 백색국가 제외라는 큰 기조에 별 다른 변화나 철회 없이 계획대로 가는 행보라는 분석이다. 우리 정부 역시 백색국가 명단 제외와 관련해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방안 등을 검토하기 위한 것일 뿐 다시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최근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관세 부과를 넘어 환율, 안보 분야로 확대되는 점도 국내 증시의 변동성을 키울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말 오사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후 국가안보 우려가 없는 분야에 한해 미국 기업들의 화웨이에 대한 판매를 허용할 것이라며 제재 완화를 시사했다.
그러나 최근 미국이 9월부터 3000억 달러 중국산 제품을 대상으로 추가 관세를 예고하고 시장에서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1달러=7위안’의 벽이 깨진 것에 대응해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등 양국 간 갈등은 한층 격화됐다.
금융시장은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에도 위안화 가치 하락이 계속되면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압박이 더욱 커지거나 중국의 대응이 격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달러=7위안이라는 심리적 지지선이 무너지면서 위안화의 가치 하락이 중국 및 이머징 자금의 이탈, 중국 외환보유고의 감소, 중국발 금융위기 우려, 안전자산 선호 심리 확대 등으로 간주되고 있다"며 "단기적으로 위안화 환율 안정이 코스피 변동성 축소와 궤를 같이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