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강릉원주대, '2025 K-UAM Confex'서 UAM 아카데미 성료
▲허성필 국립강릉원주대 교수가 지난 21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2025 K-UAM Confex' 행사장 '2025년 UAM 아카데미'교육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제공=국립강릉원주대
원주=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국립강릉원주대학교는 한국산업기술시험원과 함께 지난 21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2025 K-UAM Confex' 행사에서 'UAM 아카데미'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아카데미는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분야의 예비 산업인력 양성과 재직자 역량 강화를 위해 UAM 및 드론 산업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실무 중심 강연으로 구성됐다.
이날 항공·드론·무인기 관련 학과 재학생과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학생들, UAM 산업 관련 기업 재직자 등 다양한 직군의 참여자들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국립강릉원주대학교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지난 21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UAM 아카데미'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첫 강연에서는 문성록 원주미래산업진흥원 대리가 '드론 배송 동향 및 원주시 실증 현황'을 주제로 드론 기반 물류 서비스의 최신 기술 트렌드와 원주시가 추진 중인 실증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 박지현 ㈜스마티 대표는 '무인비행체 정보통신 규격화 체계 및 실시간 식별관리 시스템'을 발표하며 UAM 시대 필수 인프라인 비행체 규격 표준화와 실시간 식별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세 번째 강연에서 허철균 ㈜메타파스 대표는 드론·AI 기반 태양광 발전소 항공 열화상 검사 플랫폼과 드론 산업의 사업화 모델을 제시하며 AI 활용 확대 가능성을 조명했다. 마지막 강연에서는 조인제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가 RISE(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 기반의 특수목적 드론산업 발전 전략과 지역 중심 드론 생태계 확장 방향을 제시했다.
교육 종료 후 참가자들은 K-UAM Confex 전시장을 둘러보며 국내·외 UAM 전문기업들의 최신 기술과 기체를 직접 관람하는 시간을 가졌다. 현장 체험을 통해 산업 동향과 미래 비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
허성필 국립강릉원주대 교수는 “UAM 산업은 항공·통신·AI가 융합된 신산업으로 향후 인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분야"라며 “이번 아카데미가 미래 인재들이 산업 현장을 이해하고, 실제 산업 생태계로 진입하는 데 의미 있는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연세대 미래캠퍼스, 의료 AI 솔루션 오프라인 경진대회 성료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는 지난 20일과 21일 이틀간 원주 오크밸리에서 의료 AI 솔루션 오프라인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제공=연세대 미래캠퍼스
원주=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의료AI반도체 전문인력양성사업단이 지난 20일부터 21일까지 이틀간 강원 원주 오크밸리에서 'FPGA 설계 대회'와 'AI 솔루션 경진대회'를 잇따라 개최하며 의료 AI 전문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행사는 의료 분야 적용 가능성을 갖춘 FPGA 설계와 NVIDIA GPU 기반의 의료 AI 솔루션 구현을 목표로 AI·반도체 융합 분야 인재 양성을 강화하는 가운데, 의료 AI 기술의 현장 적용력을 높이는 실전 중심 경진대회를 진행했다.
학생들은 약 2개월 전부터 팀을 꾸려 프로젝트를 준비했으며, 행사 기간 동안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장비와 교재를 제공받았다.
또한 NVIDIA Certified, Intel oneAPI Certified 전문가들의 주간 멘토링을 통해 기술 검토와 구현 전략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받았다.
FPGA 설계 부문에서는 Verilog를 활용한 기본 회로 설계부터 Embedded Linux 기반의 C++ 드라이버 코드 구현까지 전 과정을 수행해, 의료 적용 가능성과 아이디어의 참신성이 평가 기준이 되었다.
NVIDIA AI 솔루션 부문은 dGPU 또는 NVIDIA Orin AGX를 활용해 스트리밍 분석 플랫폼 DeepStream과 의료 AI 프레임워크 MONAI 등을 적용해 의료 AI 솔루션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20일 열린 FPGA 대회는 학생들이 수업을 마친 뒤 저녁 8시부터 자정까지 이어지는 집중 발표·평가 형식으로 진행되며 열기를 더했다.
21일에는 최성재 KT 차장은 최신 AI 반도체 산업 트렌드를 공유하는 강의에 이어 NVIDIA AI 솔루션팀의 프로젝트 발표와 평가가 이어졌다.
FPGA 설계 부문에서는 하지정맥류 인식 시스템을 구현한 '포텐셜 AI' 팀(팀장 조재민·AI반도체학부)이 대상을, NVIDIA AI 솔루션 부문에서는 용종 탐지 시스템을 개발한 '113' 팀(팀장 신창준·의공학부)이 대상의 영광을 거머줬다.
김재수 사업단장은 “대회를 실제 교과목과 연계해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곧바로 응용하도록 하는 것이 큰 교육적 효과를 준다"며 “LLM, MONAI, DeepStream 등 최신 기술을 반영한 교과목 개발과 산학 연계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원주미래산업진흥원, 스타트업 R&D 실무 역량 강화 세미나 개최
▲원주미래산업진흥원은 지난 20일 호텔인터불고 원주에서 스타트업 R&D 실무 역량 강화 세미나를 개최했다. 제공=원주미래산업진흥원
원주=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원주미래산업진흥원은 20일 호텔인터불고 원주에서 '스타트업 R&D 실무 역량 강화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정부 R&D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스타트업의 실질적 대응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이 주최하고 원주미래산업진흥원이 주관했으며, 스타트업 관계자와 기술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석해 2026년 정부 R&D 사업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세미나는 이기녕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교수의 정부 R&D 정책 및 사업 동향 분석으로 시작했다. 이어 김세진 산업통상자원 R&D전략기획단 전문위원이 스타트업 맞춤형 R&D 계획 수립 전략을 제시하며 현장 기업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또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박경용 수석연구원은 사업계획서 작성 실무와 성공 사례를 공유하며 실무 중심 멘토링을 진행했다. 스타트업 실무자들은 실제 사업 준비 과정에서 필요한 체크포인트와 기획 노하우를 구체적으로 배울 수 있어 높은 호응을 보였다.
조영희 원장은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 속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은 R&D 기획력과 실행력"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스타트업이 기술혁신 기반을 강화할 수 있도록 R&D 지원체계를 더욱 정교하게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원주미래산업진흥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대학연구소·스타트업 공동 혁신 R&D 지원사업'에 선정돼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청각재활연구소 및 지역 스타트업과 함께 2028년까지 4년간 지역 기술창업 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금융 풍향계] “이체도 AI로”…카카오뱅크, 대화로 송금하는 ‘AI 이체’ 출시 外](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4.4db43e395cec40d09af6403bdfd3a422_T1.png)

![[에경연 발표회] “소규모 태양광에 더 높은 REC, 재검토 필요”](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4.de3e319f5cb747a3aa616cc0062177bb_T1.png)





![[에경연 발표회] 공기열 히트펌프, 사실상 ‘경제성 없음’ 판명](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4.b92670ea050f41b1a1d25f7c8902706b_T1.png)

![[김성우 시평] 탄소규제 강화와 기업의 고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4.49bb7f903a5147c4bf86c08e13851edc_T1.jpg)
![[EE칼럼] RE100 안해도 된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8.dbd99c8761244ca3b29e7374368ee5d8_T1.jpg)

![[박영범의 세무칼럼] 우리 회사는 이렇게 세무조사 안 받았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0116.41e6cfc2696b4e1289faf0d284854fb6_T1.jpg)
![[데스크 칼럼] 차기 서울시장의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14cf6ac622f04bbb8d92ca6558291437_T1.jpg)
![[기자의 눈] 울산·포항·서산 분산에너지 보류, 에너지전환 정치리스크](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21.a8c58eec092f4c988b0ec1cbd8f5f94c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