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최태현

cth@ekn.kr

최태현기자 기사모음




‘검은 금요일’ 코스피 AI 거품 우려에 3.79%↓...환율도 7개월만 최고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21 16:51
코스피, 3.8% 급락 3,850대 마감…환율도 4월 9일 이후 최고

▲코스피, 3.8% 급락 3,850대 마감…환율도 4월 9일 이후 최고/연합뉴스

21일 코스피 지수는 외국인이 2조8000억원 넘게 팔면서 4% 가까이 하락 마감했다. 인공지능(AI) 거품론이 재부각되고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79%(151.59포인트) 내린 3853.26에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이 매섭게 팔아치운 물량을 개인과 기관이 받아냈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은 2조8230억원을 순매도했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2조2950억원, 4955억원을 순매수했다.




삼성전자(-5.77%), SK하이닉스(-8.76%) 빠지는 등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부분 하락 마감했다. LG에너지솔루션(-3.51%)을 비롯해 현대차(-0.95%), HD현대중공업(-4.80%), 두산에너빌리티(-5.92%), KB금융(-0.58%) 등이 내렸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주식 시장 하락에 코스피 반도체 대형주에서 외국인 자금이 유출했다"며 “시장은 엔비디아 호실적 발표에도 매출 채권 급증에 주목하면서 수익화 속도 저하 우려가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전날 AI 대장주인 엔비디아가 실적 기대치를 크게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지만, 시장에 만연한 AI 버블 우려를 불식하기에는 역부족인 분위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2월 1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75~4.00%로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짙어진 점도 악재로 꼽힌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관계자가 거품론을 언급한 것도 투자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리사 쿡 연준 이사는 “주식과 회사채, 레버리지 론, 주택을 포함한 여러 시장에서 자산 가격이 역사적 벤치마크보다 높다는 게 우리의 평가"라고 한 대학 강연에서 발언했다. 그러면서 “현재의 내 인상은 자산 가격이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코스닥지수도 27.99포인트(3.14%) 내린 863.95로 마감했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67.9원) 대비 7.7원 오른 1475.6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과 미·중 무역 갈등 충격이 거셌던 지난 4월 9일(1484.1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