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기창 안동시장, 시정연설 통해 2026 안동 미래 전략 제시
▲권기창 시장 시정연설서 2026년 안동시 청사진을 밝히고 있다. 제공-안동시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권기창 안동시장은 20일 열린 제263회 안동시의회 제2차 정례회에서 시정연설을 발표하며, 민선 8기 3년간의 변화와 성과를 정리하고 내년도 시정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권 시장은 연설에서 “3월 대형 산불로 삶의 터전이 잿더미로 변했지만 시민들의 연대와 전국 각지의 지원이 새로운 희망을 만들었다"고 회고하며, 올해 안동이 이뤄낸 성과를 시민과 함께 만들어낸 결과라고 강조했다.
안동시는 올해 공약 이행률 74%를 기록하며 3년 연속 공약이행평가 최우수 등급(SA)을 받았다.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도 더해져 행정 신뢰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재정에서도 예산 규모가 2조 원을 돌파했고, 국비·도비 9500억 원 이상을 확보해 대형 프로젝트 추진 기반을 마련했다.
경제·산업 분야에서는 첨단백신개발센터 착공과 바이오생명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가속화되며 바이오·백신 산업의 성장 토대를 강화했다.
세계한인대표자대회를 통해 해외 경제인 1천여 명이 방문해 1,200억 원 규모 계약을 이끌어내는 성과도 있었다.
관광 분야도 큰 폭의 성장세가 나타났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열흘간 160만 명을 끌어들이며 역대 최대 관람객을 기록했고, 낙동강변 신규 힐링 관광지 '물속 걷는 길' 등이 시민·관광객 모두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생활 인프라 확충도 전방위적으로 진행됐다. 70세 이상 버스 무료화, 보훈회관 신축, 상수도 보급률 전국 최고 수준 달성 등 시민생활 밀착형 사업이 강화됐고, 상수도 경영평가 최우수 등급을 받으며 관리 역량도 인정받았다.
권 시장은 2026년을 민선 8기의 결실을 완성하는 해로 규정하며 △안전도시 △평생복지도시 △신성장 경제도시 △머무는 문화관광도시 △정원도시 △스마트 농업도시 등 여섯 가지 핵심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기후위기 대응 기반 확충, 생애주기 맞춤형 복지 확대, 바이오·헴프 산업 육성, 사계절 관광콘텐츠 강화, 도심 녹지 확충, 스마트농업 기반 투자 확대 등을 중점 추진할 방침이다.
내년도 예산은 1조 6640억 원으로 편성됐으며, 시민 삶의 질 향상 분야에 약 48.6%, 지역 경제 기반 확충 분야에 32.6%를 중점 배분한다.
권 시장은 “위기 속에서도 희망을 선택한 시민과 함께 더 강한 안동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영주시, 동서횡단철도 전략 논의 본격화…“중부권 교통지형 바꿀 기점"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정책 토론회 홍보 포스터
영주=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영주시는 오는 26일 영주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필요성과 영주의 역할'을 주제로 전문가 토론회를 연다.
이번 토론회는 단순한 정책 설명이 아닌, 중부권의 교통·물류 체계를 대폭 개편할 동서철도 건설 필요성을 지역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제기하는 첫 계기가 될 전망이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는 충남 서산에서 경북 울진까지 총 330km를 잇는 광역 프로젝트로, 대통령 지역공약에 포함된 국가적 과제다.
철도가 완성되면 중부권은 새로운 국가 대동맥 축을 확보해 산업·물류 구조가 근본적으로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영주에는 1조 2천억 원 규모의 수소발전소 유치가 추진되고 있으며, 이 발전소의 핵심 연료인 수소를 울진에서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철도 물류망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함께 영주시는 중앙선·경북선이 교차하는 철도 중심지로 관련 기관이 집중돼 있어 동서축 철도망의 핵심 연결축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유정근 영주시장 권한대행은 “지금이 중부권 철도망 재편의 적기이며, 더는 기다릴 수 없다는 뜻을 이번 토론회에서 확실히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예천군 첫 골목형상점가 지정…'새움로' 지역상권 활력 기대
예천=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예천군은 경북도청신도시 중심상가 일대의 '새움로 골목형상점가'를 군내 첫 골목형상점가로 지정하고 상인회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예천군은 소규모 상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관련 조례를 개정해 지정 기준을 대폭 완화했다.
기존 30개 점포 기준을 15개 이상으로 낮추고, 토지·건물 소유자 동의 대신 상인 동의만으로 지정 신청이 가능해졌다.
이 같은 제도 개선 이후 첫 지정 실적이 나온 것이다.
새움로 골목형상점가는 약 3752㎡ 규모에 29개 점포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번 지정으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이 될 수 있고 다양한 상권 활성화 공모사업 참여 자격도 확보하게 됐다.
예천군은 신도시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학동 예천군수는 “골목상권의 활력이 지역경제 회복으로 이어지는 만큼, 첫 지정 사례가 성공 모델로 자리 잡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봉화군, 지방자치혁신대상 '문화혁신 최우수상'…K-베트남밸리 성과 인정
▲봉화군은 20일 개최된 '2025 대한민국 지방자치혁신대상'에서 문화혁신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제공-봉화군
봉화=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봉화군은 20일 개최된 '2025 대한민국 지방자치혁신대상'에서 문화혁신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번 평가에서 봉화군은 베트남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문화·교류사업 추진, 지역 특성을 살린 정주기반 강화, 글로벌 연계사업 확대 등이 미래지향적 혁신 모델로 높게 평가됐다.
특히 'K-베트남밸리 조성사업'은 베트남과의 오랜 교류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 다문화 기반 인구 유입, 글로벌 산업·관광사업 발굴 등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며 타 지자체의 벤치마킹 사례로 떠올랐다.
생활인구 확충과 지역상권 활성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효과도 이번 평가에서 높게 인정됐다.
박현국 봉화군수는 “K-베트남밸리를 중심으로 국제 교류와 지역산업을 한 단계 확장해 '세계로 향하는 봉화'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울릉군, 2026년도 예산 2460억 원 편성…전년 대비 15.7% 증가
▲울릉군청사 전경. 제공-울릉군
울릉=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울릉군은 2026년도 예산안을 2460억 원 규모로 편성해 군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본예산 대비 334억 원 증가한 수치로, 민생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에 무게를 둔 확장적 예산이 특징이다.
주요 세입은 지방교부세 1114억 원, 자체수입 320억 원, 보조금 695억 원 등이 포함된다.
세출은 △사회복지·보건 385억 원 △농림수산 261억 원 △산업경제 259억 원 △지역개발 198억 원 등 군민 생활과 지역경제 활력을 높이는 데 중점적으로 배분됐다.
남한권 울릉군수는 “성과 중심의 재정운용으로 군민이 체감하는 사업을 확대해 '행복한 군민, 다시 찾는 새울릉'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EE칼럼] RE100 안해도 된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8.dbd99c8761244ca3b29e7374368ee5d8_T1.jpg)
![[EE칼럼] 다시 생각해 보는 지속가능발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1.590fec4dfad44888bdce3ed1a0b5760a_T1.jpg)

![[이슈&인사이트] 건설안전을 뒤틀리게 할 건설안전특별법안 재고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729.c8f45b397be644c2acafb093d3ca8740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부동산대책, 실수요자 배려해야 효과 본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710f4e5ba3f5454d85edc37966c891f6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