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풍력산업 주역] CIP, 유럽 노하우로 한국 대형 프로젝트 확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23 06:06

태안·울산·신안 등 4.9GW 해상풍력 구축
부유식 포함 장기 인프라 투자 본격화

CIP  '전남해상풍력 1' 단지의 모습. CIP

▲CIP '전남해상풍력 1' 단지의 모습. CIP

덴마크계 그린 인프라 투자사 CIP가 한국을 아시아 해상풍력 전략 거점으로 키우고 있다. 전남 신안과 충남 태안, 울산 앞바다 등지에서 총 4900메가와트(MW)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유럽에서 축적한 개발·투자 경험을 국내 시장에 이식하는 중이다.


23일 재생에너지업계에 따르면 CIP가 국내에서 추진 중인 주요 프로젝트는 △전남1~3(900MW) △충남 태안 해상풍력(약 500MW) △울산 앞바다 부유식 '해울이1~3'(1500MW) △신안 해송1·3(약 1000MW) △신안 해금1·2(약 1000MW) 등으로, 고정식과 부유식 해상풍력을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이들 사업을 합치면 4900MW를 웃도는 규모다.


태안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최근 장기 전력판매 기반을 확보하며 본격적인 개발 단계에 들어섰다. CIP와 뷔나에너지가 합작 설립한 태안풍력발전은 한국서부발전(300MW), 강릉에코파워(200MW)와 총 500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해상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에서 사업자로 선정된 데 이어 REC 계약까지 마무리되면서, 2026년 착공·2029년 상업운전 목표에 속도가 붙었다.




울산 앞바다에서는 1500M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 '해울이1~3'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해울이는 울산 연안에서 약 80km 떨어진 해상에 2030년까지 조성을 목표로 하는 대형 부유식 프로젝트로, LS전선·LS마린솔루션 등 국내 공급망 기업과 해저케이블·해상공사 협력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부유식 해상풍력은 수심이 깊은 해역에서도 발전이 가능해 공간 제약이 적고, 울산 조선·해양플랜트 산업과의 시너지가 기대된다.


전남해상풍력 1단계(99MW)는 지난 5월 상업운전을 본격화했다. CIP는 SK이노베이션 E&S와 각각 49%와 51%의 지분을 출자해 전남해상풍력을 설립했다. 지난 2017년 9월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데 이어 지난해 12월 풍력발전기 10기 설치를 완료했다.


CIP는 한국 법인 CIP·COP코리아를 통해 국내 개발을 전담하고 있다. 투자·프로젝트 관리 등은 CIP가, 인허가·기술개발 등 시행업무는 그룹 내 해상풍력 개발사 COP가 맡는 '투자와 디벨로퍼' 이중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공급망 기업과의 장기 파트너십, 지역사회와의 상생 모델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정책·시장 변화에 대한 메시지도 적극 발신하고 있다. CIP는 지난 7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에 스폰서로 참여해 한국 해상풍력 특별법, 대규모 입찰 제도, 공급망 국산화 방향 등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CIP·COP코리아는 지난 2023년 주한유럽상공회의소(ECCK)가 주관한 '지속가능성 어워드'에서 블루 호라이즌(Blue Horizon) 상을 수상하는 등 ESG 측면에서도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탄소 감축과 해상풍력 공급망 구축, 지역사회 상생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다. CIP는 국내 협력사와 노하우를 공유하고 견고한 파트너십을 구축해, 한국을 아시아 해상풍력 공급망의 허브로 만드는데 기여할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