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명 작가가 18일 세종시립도서관에서 열린 '세종의 나라' 독서토론회에서 작품 일부를 공개하며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을 설명하고 있다. 제공=세종시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를 주제로 한 김진명 작가의 신작 소설 '세종의 나라'(가제)가 세종시에서 처음으로 공개됐다.
세종시는 18일 세종시립도서관에서 100여 명의 시민이 참여한 가운데 독서토론회를 열고, 작품에 담길 세종대왕의 정신과 세종시의 이야기를 함께 나눴다. 세종시와 세종대왕기념사업회는 이날 '세종의 나라 지혜 나눔 독서토론회'를 개최했다.
'세종의 나라'는 소설 '고구려' 등으로 잘 알려진 김진명 작가가 집필 중인 역사소설로,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과정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시·기념사업회·김 작가는 지난달 10일 열린 한글문화 공동체 출범식에서 작품 완성을 위한 공동협력을 약속한 바 있다.
김 작가는 제1권의 일부 내용을 최초로 공개해 현장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그는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의미는 백성에게 글을 제공함으로써 중국에 나라 이름까지 의존하던 조선의 운명을 바꾸고 자주의 기틀을 세운 데 있다"며 “쉬운 글을 마련해 약자와 동행한 인류사적 가치 또한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작가와 최홍식 세종대왕기념사업회장, 이재민 세종지역학센터장, 북튜버 공백이 참여해 '세종의 나라에 담아낼 세종시의 이야기'를 주제로 깊이 있는 토론을 이어갔다.
최홍식 세종대왕기념사업회회장은 “세종대왕 업적 중 신비로 남아 있던 제자해(製字解)를 상상력과 지식으로 풀어낸 작가의 역량이 돋보였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재민 세종지역학센터장은 “이 소설은 한 편의 문학을 넘어 세종이라는 지역 정체성을 새롭게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북튜버 공백은 “평범한 독자의 입장에서 참여했지만, 역사적 사실을 넘어 인간의 고뇌와 한글 창제의 경이로움을 새롭게 느꼈다"고 말했다.
참석한 시민들도 “세종의 철학이 작품에 깊이 반영되길 바란다"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김진명 작가는 이날 제시된 전문가·시민 의견을 정리해 제2권 집필에 반영할 계획이다.
최민호 시장은 “세종대왕의 정신을 잇는 도시 세종에서 시민과 작가가 함께 소설을 만들어가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세종의 나라' 완성까지 시민들의 많은 관심과 응원을 바란다"고 말했다.










![[EE칼럼] 기후변화협약의 정치와 과학](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528.6d092154a8d54c28b1ca3c6f0f09a5ab_T1.jpg)
![[EE칼럼] 국가 탄소감축 정책, 이상과 현실 사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1.b55759f13cc44d23b6b3d1c766bfa367_T1.jpg)

![[이슈&인사이트] 정치적 상상력을 초월하는 현실 정치](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1.d4a5236841154921a4386fea22a0bee8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규제 말고 지원”···산업계 호소가 절박한 이유](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8.b53eb0fbb6654840a753cb7636a4206f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