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효순

anytoc@ekn.kr

박효순기자 기사모음




[기고] 사람과 지역, 그리고 지속가능한 의료의 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12 16:36
김소현 굿닥터스나눔단 차장

▲김소현 굿닥터스나눔단 차장



굿닥터스나눔단(이하 나눔단)은 사단법인 약침학회의 사회공헌팀이다. 나눔단은 지난 1년간 전국의 농축산 지역을 순회하며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의료의 길을 걸어왔다. 진천, 증평, 원주, 가평은 물론 산불 피해를 입은 영덕까지, 우리가 머문 자리마다 의료와 나눔의 풍경이 새로 피어났다. 한의사와 간호사, 자원봉사자 310여 명이 함께한 봉사 현장은 단순한 진료소가 아니라, '의료가 사람 속으로 스며드는 과정'이었다.


진료를 받은 주민 약 1200명은 대부분 농축산업 종사자나 고령층, 오랜 기간 통증을 참고 살아온 이들이었다. 의료진은 약침과 침 치료, 한방 과립제 처방, 건강 상담을 함께 진행하며 단순한 통증 완화를 넘어 생활습관까지 살폈다. 증평군에서는 군청과 자원봉사센터, 지역 한의원이 손을 맞잡아 한의의료 협력 모델을 만들었다. 영덕군에서는 산불 피해 주민을 찾아 긴급진료와 상담을 병행했다. 의료의 공공성과 연대의 의미를 다시금 느낀 의술과 인술의 현장이었다.



한의

▲경북 영덕군에서 진행된 한의 의료봉사 장면. 사진=굿닥터스나눔단

나눔단의 현장에는 세대의 구분이 없다. 한의사와 간호사, 학생, 직장인, 지역 주민이 함께 어르신의 손을 잡고 이야기를 하고 웃음을 나눈다. 청년들은 의료가 단지 기술이 아니라 '관계를 맺는 일'이라는 소중한 교훈을 배우고, 어르신들은 젊은 세대의 손길에 위로를 얻는다. 세대와 직업의 경계를 넘어 서로가 연결되는 과정이야말로 나눔단이 지향하는 '사람 중심의 공공의료'의 모습이다.




필자는 나눔단의 실무자로서 현장의 얼굴들을 마주하며 의료가 제도나 시스템보다 먼저 '사람'에서 시작된다는 사실을 배웠다. 그런 마음으로 지난 9월, 국회에서 열린 '지속 가능한 미래, 청년이 선도하다' 국제 컨퍼런스에서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모든 사람의 건강한 삶과 웰빙 보장(SDG3)'을 주제로 의료봉사 사례를 발표했다.



증평군

▲충북 증평군에서 이뤄진 한의 의료봉사 장면. 사진=굿닥터스나눔단

의료 취약지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며, 의료가 단순한 치료를 넘어 한 사람의 삶을 지탱하는 일임을 강조했다. 의료는 병원 안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지역으로 들어가 사람들의 일상과 함께 호흡할 때 비로소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이 현실이 된다.


의료의 본질은 기술보다 먼저 사람을 향한 따뜻한 손길에 있다. 나눔단이 걸어온 1년은 그 사실을 다시 확인한 시간이었다. 기후재난과 고령화, 농촌의 의료공백이 깊어지는 지금, 의료는 더 이상 병원 안에서 완결되지 않는다.





필요한 곳으로 찾아가고, 지역의 삶과 함께 호흡하는 의료만이 지속가능한 공공성을 가진다. 내년에도 그 길 위에서 답을 찾을 것이다. 일회성의 행사가 아닌, 사람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의료의 그 꾸준한 걸음이야말로 의료의 미래를 보여주는 가장 현실적인 그림일 것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