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대안정보로 중저신용자 1조 추가 대출…카뱅, ‘카플스코어’ 연내 확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30 09:00

2022년 대안신용평가모형 카뱅 스코어 개발

중저신용대출 13% 추가 공급…씬파일러엔 2700억
CB사 점수 대비 금융이력 부족 고객 변별력 높아

카플스코어 외부 개방 추진…“포용금융 실현”

카카오뱅크

▲29일 서울 여의도 카카오뱅크 오피스에서 열린 '카뱅 커넥트'에서 조진현 카카오뱅크 신용리스크모델링팀장이 신용평가모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스코어는 국내 금융기관에서 거의 유일하게 대안정보만으로 개발된 신용평가모형입니다. 다양한 영역의 정보를 총망라해 반영하고 있습니다."


29일 서울 여의도 카카오뱅크 오피스에서 열린 '카뱅 커넥트'에서 조진현 카카오뱅크 신용리스크모델링팀장은 카뱅의 대안신용평가모형인 카뱅 스코어의 차별점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카뱅은 2022년 롯데멤버스·교보문고·다날·금융결제원 등 8개 기관의 가명결합데이터 1800만 건을 활용해 업계 최초의 독자적 대안신용평가모형인 카뱅 스코어를 개발했다. 앱 내 적금·이체 실적, 카카오 선물하기·택시 이용, 도서 구매 등 3800여 변수를 반영했다.


카뱅이 대안정보만을 활용한 신용평가모형을 만든 것은 기존 금융정보 중심 평가로는 중·저신용자와 씬파일러(금융이력 부족 고객)의 신용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조 팀장은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신용평가사(CB사)가 잘 갖춰져 있어 금융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금융정보가 없는 사람들은 어떻게 할 것이냐라는 문제가 생긴다"며 “신용평가 사각지대를 해결할 수 있는 방편 중 하나가 대안정보"라고 강조했다.


카뱅 스코어를 활용한 결과 올해 3분기까지 중·저신용 대출의 13%(약 1조원)가 기존 금융정보 중심 모형으로는 거절된 고객에게 추가 공급했다. 건수 기준으로는 11%가 많이진 것으로, 승인율이 11% 높아진 셈이다. 씬파일러에게 추가 실행된 금액은 약 2700억원 규모다.


특히 카뱅 스코어는 기존 CB사 점수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금융이력이 부족한 고객에서 변별력이 높았다. 카뱅 스코어와 표준CB점수 각 상위 30%의 집단을 비교해 보니 씬파일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9.7%, 1.8%, 저소득층 비중은 각각 10.6%, 5.3%로 나타났다. 비금융 데이터가 신용평가의 공정성과 정확성을 높였다는 분석이다.




현재 카뱅은 개인 대상으로 카뱅 스코어 외에도 '카카오뱅크 트러스트스코어'를 운영하고 있다. 신용사면 등에 대비해 연체정보 없이 개발된 모형으로, 금융정보와 대안정보를 결합했다. 2023년에는 개인사업자용 '소상공인 특화 신용평가모형'을 구축해 음식점업, 서비스업, 온라인셀러 특화 스코어를 운영 중이다. 업종별 특징을 반영해 금융정보와 대안정보를 활용하며, 금융접근성이 낮은 업종의 대출 문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조 팀장은 “내년에는 소매업 특화 스코어도 추가된다"며 “업종 다양화와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카뱅은 대안신용평가모형을 외부 금융사에게도 개방한다. 지난 6월 나이스(NICE)신용정보와 협약을 맺고 '카카오뱅크 플랫폼 스코어(카플스코어)'를 외부 금융사에 제공하는 공동 작업에 착수했다. 카플스코어는 카뱅 스코어를 외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재개발한 모형이다. 우선 '신용대출 비교하기' 서비스 입점 금융사에 제공하고, 향후 적용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조 팀장은 “카플스코어를 연내 오픈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대안안신용평가 저변을 확대하고 금융 접근성을 높이며 대출비교 플랫폼에서도 차별화를 만들어 간다는 전략"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카뱅을 넘어 전 국민이 보다 공정한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진정한 의미의 포용금융을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