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손중모

jmson220@ekn.kr

손중모기자 기사모음




[기획] 청도반시축제, ‘Fun See’로 물든 가을 청도, 농촌이 축제의 중심이 되다(1)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19 10:29

씨 없는 감이 만든 풍경


주민이 주인공이 된 축제


지역이 살아나는 현장


청도 반시(半柿)는 단순한 농산물이 아니다. 지역을 상징하는 문화이고, 주민 삶의 일부다. 2025년 청도반시축제는 'Fun See(펀시)'라는 슬로건 아래, 농업과 문화, 관광이 어우러진 성공적인 지역축제로 평가받았다. 본지는 3회에 걸쳐 이번 축제의 현장과 의미, 그리고 지역사회에 미친 경제적·문화적 파급효과를 심층 분석한다.<편집자주>



ㅂ

▲감으로 만든 청도반시축제 모습

글싣는 순서




1:'Fun See'로 물든 가을 청도, 농촌이 축제의 중심이 되다


2:농민의 손끝에서 관광자원으로… 반시의 가치가 달라졌다


3::지역이 살아나는 길, 축제의 지속가능성을 말하다



가을빛 물든 청도, 축제의 첫날… 'Fun See' 인파 몰려


10월의 맑은 하늘 아래 청도야외공연장 일대는 반시(씨 없는 감)빛으로 물들었다.개막식이 열린 17일 오전부터 인파가 몰리며 행사장은 활기를 띠었다.


'청도 반시축제'는 이름 그대로 지역의 대표 특산물 '반시'를 중심으로 한 체험형 축제다.올해는 '반시'가 아닌 'Fun See(펀시)'를 주제로 '즐겁게 보고(See), 맛보고(Fun)'를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1

▲감식초 족욕장

반시가 만든 새로운 체험형 콘텐츠


행사장 곳곳에는 명품청도반시전시관,반시족욕,맛있는 반시푸드존,청도감물염색,반시체험촌 등 반시를 소재로 한 프로그램이 즐비했다.


'황금반시를 찾아라' 같은 참여형 프로그램과 ' 반시 자판기' 같은 이색 이벤트는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웃음을 자아냈다.


한 체험객은 “감이 단순히 먹는 과일이 아니라, 청도의 문화를 이끌어가는 자산이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1

▲2025청도반시축제 주민가 하는 되는 노래자랑 현장 모습

주민이 주인공이 된 진짜 '지역축제'


이번 축제의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주민 주도형 운영으로의 전환이다. 청도군청과 지역농협, 주민자치위원회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지만, 실질적인 기획과 운영은 주민의 손으로 넘어갔다.


청도읍과 각 마을 단체, 청년 농부들이 직접 부스를 운영하며 지역 농산물 직거래를 활발하게 진행했다.


한 주민은 “과거에는 구경꾼으로 축제에 왔지만, 이제는 우리가 축제의 프로그램을 만들고 운영하는 주체로 나서고 있다"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청도 반시축제는 행정 주도의 틀을 깨고 지역 공동체가 함께 일군 '농업문화의 축제'로 확실히 자리 잡았으며, 그 속에서 '살아있는 지역경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1

▲관광객들이 반시자판기를 흥미롭게 이용하고 있는 모습

“주민 주도형 전환이 최대 성과"


청도군 관계자는 이번 축제의 성공에 대해 “군이 기획하고 주민이 참여하는 기존 구조를 넘어, 주민이 직접 프로그램을 만들고 운영하는 진정한 '주민축제'로 발전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청년과 농민이 주도하는 부스를 늘리고,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체험 프로그램을 강화해 반시가 단순한 농산물이 아닌 문화자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행정은 주민이 주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조력자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며, 내년에도 축제가 지역 화합과 경제 활력의 장으로 꾸준히 성장하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임을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