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승현

jrn72benec@ekn.kr

정승현기자 기사모음




LG엔솔 호실적에 LG화학 ‘안도’…고부가 전환 속도낼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14 17:20

ESS 호조 덕분 3분기 LG화학 석화 부진 방어 기대
수처리·에스테틱 매각, 엔솔 지분 PRS로 실탄 확보
석화업계 구조조정 맞물려 성장동력 확보 원군 역할
친환경·전지소재, 신약 신성장 추진도 탄력 붙을듯

LG화학 용성공장

▲전남 여수 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LG화학 용성공장의 모습. 사진=LG화학

LG화학이 3분기 LG에너지솔루션의 호실적에 힘입어 석유화학 부문 부진을 털어내고 미래 먹거리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지분을 활용한 자금 조달도 가시화하며 3조원 넘는 유동성 '실탄'을 확보하면서다.


고부가가치 소재 중심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 석화산업 구조조정을 버티는 과정에서 LG에너지솔루션 지분의 역할이 확대될 가능성에 시장의 이목이 쏠린다.


15일 석화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의 이차전지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3분기 잠정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34.1% 늘어난 6013억원을 기록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를 제외한 영업이익은 2358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매출은 5조6999억원으로 17.1% 줄었다. 전기차의 일시적 수요 부진(캐즘) 현상이 길어졌지만 미국 중심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수요가 늘어나는 데 힘입었다.


이는 LG화학 영업실적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LG화학이 보유한 LG에너지솔루션 지분율은 81.4%다.




상반기 LG화학은 연결 기준으로 9145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이 가운데 8668억원이 LG에너지솔루션에서 나왔다. 매출도11조8243억원으로 전체의 50.2%를 차지했다. 주력 분야인 석유화학에서 매출 9조3043억원과 영업적자 1469억원을 낸 가운데 이차전지 사업으로 방어한 것이다.


석유화학 분야의 부진을 딛고 고부가가치와 첨단 산업용 소재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전환하기 위한 실탄 확보에도 기여한다. LG화학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일환으로 내세운 친환경 소재와 전지 소재, 신약 등 3대 신성장 사업을 내세운 바 있다.


이 과정에서 LG화학의 LG에너지솔루션 지분이 도움을 줬다. LG화학은 다음 달 3일 LG에너지솔루션 지분 약 2.5%를 주가수익스와프(PRS) 방식으로 처분하기로 했다. 계약 기간이 만료되는 3년 뒤 지분 가치가 낮아지면 차익만큼 매수자에게 정산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3년 동안 1조9981억원의 자금 유동성을 확보하게 됐다.


LG화학은 이미 지난 6월 첨단소재 부문의 수처리 필터(워터 솔루션) 사업을 1조4000억원에 사모펀드기업 글렌우드 PE의 특수목적법인에 양도하기로 결정했고, 8월에는 에스테틱 사업을 2000억원에 매각하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 PRS 계약까지 포함해 약 3조5000억원만큼 미래 투자 여력이 생긴 셈이다. LG전자가 13일 인도 법인 상장으로 확보한 자금 1조8567억원까지 더해 LG그룹 차원에서 미래 먹거리를 키울 체력을 확보했다는 의미도 있다.


당분간 ESS와 다양한 배터리 폼 팩터(형태)를 기반으로 LG에너지솔루션의 성장세가 LG화학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의 버팀목 중 하나가 돼줄 전망이다. 지배력을 유지하는 수준에서 LG에너지솔루션 지분을 활용해 자금을 추가로 확보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LG화학은 지난 8월 2분기 실적 콘퍼런스 콜에서 “LG에너지솔루션 지분은 LG화학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전략적으로 사용 가능한 자원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동시에 정부가 국내 석화 사업 구조 재편에 드라이브를 걸어 석화 부문 실적 부진을 털어내는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LG화학은 에틸렌을 생산하는 나프타분해시설(NCC)을 국내 최대인 연산 330만톤(t) 규모로 생산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NCC의 생산 능력(캐파)을 축소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와 석화업계는 국내 NCC 생산 능력(캐파)를 최대 370만t 감축하고 산업단지별로 석화사와 정유사 간 합작법인(JV)을 세울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석화사들이 방안을 내놓으면 정부와 금융권이 이자나 세제 등을 지원하는 구조다. 에틸렌 등 기초 석화 소재 시장에서는 생산 비용이 저렴한 중국과 원유를 직접 뽑는 중동 국가들이 한국을 앞선 지 오래라 구조조정을 빨리 시행할수록 석화기업들에 유리하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