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인호

sih31@ekn.kr

송인호기자 기사모음




이재준 수원시장 “하루 30g 줄이기, 시민의 작은 실천이 지구의 큰 변화 견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14 10:30

지구를 위한 수원의 도전, 시민과 함께하는 ‘쓰레기 감량 챌린지’

수원시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지난 7월 새빛 환경수호자 발대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제공=수원시

수원=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수원시가 '환경수도'의 이름에 걸맞은 실천형 환경정책으로 또 한 번 주목받고 있다. 이재준 수원시장이 주도하는 '쓰레기 감량 챌린지'는 단순한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을 넘어, 시민 참여와 현장 평가를 결합한 혁신적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하루 30g 줄이기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내세운 이번 정책은 탄소중립 실현의 실질적 전환점이자, 시민과 행정이 함께 만드는 '지속 가능한 도시 수원'의 도전이다.


“쓰레기 줄이고 보상받자"…706개 마을서 '새빛 환경수호자' 활동

수원시

▲지난 7월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새빛 환경수호자 발대식이 열린 가운데 999명의 환경수호자들이 실천 다짐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제공=수원시

지난 7월 수원시는 환경관리원·자원관리사·무단투기 단속원 등 999명을 '새빛 환경수호자'로 위촉하고 생활쓰레기 감량 평가를 시작했다. 이들은 매일 아침 청소차를 타고 시 전역 706개 마을을 돌며 쓰레기 배출량 변화를 꼼꼼히 기록한다.


청소차 옆면에는 '쓰레기 감량하고 보상받자'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단순한 청소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수원'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현장 실천이 병행되는 셈이다. 새빛 환경수호자들은 각 구역의 쓰레기 배출량을 '증·보통·감'으로 구분해 평가표에 기록하고 매월 점수를 산출한다. 수원시는 연말까지 누적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마을을 선정해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이재준 시장은 “환경정책은 시민의 생활 속에서 실천될 때 의미가 있다"며 “새빛 환경수호자는 단순한 청소 인력이 아니라 시민과 함께하는 '환경 변화의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시민이 줄인 만큼 마을이 보상받는다

수원시

▲수원시 청소차에 감량 챌린지 홍보 문구가 적혀 있다 제공=수원시

수원시는 생활폐기물 감량을 시민의 참여형 경쟁으로 전환했다. 올해 12월까지 진행되는 감량평가 결과 상위 5%인 36개 우수마을에는 총 1억원 상당의 물품이 지원된다. 마을 규모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최대 700만 원 상당의 청소 관련 물품이 인센티브로 제공된다.




지난 8~9월 두 달간의 중간평가에서 이미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수원시의 3분기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3만5370톤으로 전년 동기(3만5,537톤)보다 167톤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2000톤 이상 증가했던 점을 고려하면 증가세를 성공적으로 꺾은 셈이다.


현재 공동주택 700세대 이상 부문에서는 율천동 신일아파트가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율전삼성2단지·천천삼성래미안이 뒤를 잇는다. 일반주택 부문에서는 조원2동 1구역, 입북동 6구역, 화서1동 2구역 등이 상위권을 형성하며 '마을 대항전' 양상을 보인다.---


“1인 1일 30g 줄이면, 수원시 연간 1만3000톤 감량"

수원시

▲수원시 쓰레기 감량 챌린지를 홍보하는 포스터 제공=수원시

이재준 시장은 이번 챌린지의 핵심 목표를 “시민 한 명이 하루 30g만 줄이는 것"으로 정했다. 단순히 숫자로 보면 작지만 수원시민 전체가 동참할 경우 연간 1만3500톤의 쓰레기를 줄일 수 있다. 이는 수원시 전체 생활폐기물 발생량(13만5000톤)의 10%에 해당하며 3년간 20%를 감량할 경우 약 82억원의 처리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2027년부터 수도권 직매립 금지가 시행되면 수원시도 민간 소각장 위탁처리에 의존해야 하는 현실적 부담이 크다. 이 시장은 “쓰레기 감량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라며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 시민 모두가 주체적으로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 서약 1000여명 돌파...생활 속 실천 확산

수원시

▲조원2동과 관내 어린이집들이 장난감 리사이클링을 위해 업무협약을 맺은 뒤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수원시

지난 4월부터 수원시는 '새빛톡톡'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감량 서약을 시작했다. 현재 1000명 이상이 '새빛시민 실천 서약서'에 이름을 올렸다. 서약 내용은 단순하다. 라면봉지 6개, 테이크아웃 컵 3개, 배달용기 1개를 줄이거나 올바르게 분리배출하면 하루 30g 감량 성공이다.


조원2동은 어린이집과 장난감 리사이클링 협약을 맺어 장난감을 수거·세척·기부하는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했고 매탄2·3동은 SNS 홍보와 자체 제작 홍보물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 속 감량문화'는 행정의 지시가 아닌 시민의 자발적 실천으로 확산되고 있다.


분리배출·일회용품 줄이기, 이제는 시민의 기본

수원시

▲지난달 수원시가 '대한민국 새단장 주간(9월 22일~10월 1일)'에 맞춰 '수원 청소의 날' 행사를 열어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수원시

수원시는 감량의 핵심을 '올바른 분리배출'에 두고 있다. 재활용품이 제대로 분리되면 자원으로 다시 태어나지만, 섞여 배출되면 모두 폐기물로 전락한다.


폐지는 새 종이로, 플라스틱은 사출제품으로, 투명 페트병은 옷과 가방의 원단으로 재탄생한다. 이 때문에 라벨 제거와 물기 제거는 필수다. 반면 코팅된 광고지, 기름 묻은 종이, 뼈·껍데기류는 일반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한다.


가전제품은 '폐가전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를 통해 손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냉장고·세탁기 등 대형 가전은 1개부터, 소형 가전은 5개 이상일 경우 무료 수거가 가능하다.


1인 가구의 편의를 위해 올해 안에 손잡이가 있는 재사용 5ℓ 종량제 봉투도 새로 도입될 예정이며 수원시는 이를 통해 배출 편의성과 감량 효과를 동시에 높일 계획이다.


이 시장, “새빛 환경수호자, 시민의 변화를 이끄는 현장 리더"

수원시

▲이재준 수원시장 제공=수원시

이재준 수원시장은 “새빛 환경수호자는 단순한 청소 인력이 아닌, 시민의 감량 실천을 이끌어가는 현장의 리더"라며 “시민 한 사람의 작은 행동이 지구의 미래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준 시장은 이어 “탄소중립 실현의 첫걸음은 쓰레기를 줄이는 것에서 시작된다"며 “시민 모두가 하루 30g 줄이기에 동참해 '환경수도 수원'의 명예를 함께 지켜가자"고 강조했다.


수원시의 생활폐기물 감량 챌린지는 단순한 환경정책을 넘어, 시민 스스로가 변화를 만들어가는 '참여형 녹색전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쓰레기를 줄이는 실천이 일상의 습관으로 자리잡을 때, 수원의 도전은 곧 대한민국 도시환경정책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