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현금자동인출기 모습.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임금 인상과 주 4.5일제 도입을 요구하며 26일 총파업에 나선다. 경고성 차원으로 일단 하루만 진행하며, 이후 상황에 따라 추가로 이어갈지 결정할 계획이다.
시중은행들은 실제 파업 참여 인원이 많지 않아 영업에 지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은행권 내부에서는 주 4.5일제를 내세운 이번 파업 명분이 공감을 얻기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는 의문도 나온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26일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총파업을 실시한다. 금융노조는 지난 24일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을 열고 실질임금 상승과 주 4.5일제 도입을 요구하기 위한 총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참여 인원은 전체 조합원 10만여명 중 약 8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노조가 원만한 타결을 위해 인상률을 3.9%로 수정 제안했지만 사측은 여전히 2.4%를 고수하고 있다"며 실질임금 삭감을 주장했다. 또 “2002년 금융산업이 주 5일제를 가장 먼저 실시한 것처럼 주 4.5일제도 선제적으로 도입해 저출생과 소비 침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시중은행들은 실제 총파업에 참여하는 인원이 적어 영업 차질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 은행 관계자는 “2022년 총파업 때도 참여 직원 수는 많지 않았다"며 “이번에 많이 참여해도 영업점당 1명 정도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 정도 공백으로는 영업점 운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은행 지점과 직원 수가 감소하고 있지 않느냐"며 “그만큼 직원 1인당 업무가 많아졌고 당장 처리해야 하는 일이 몰려 있어 하루 자리를 비우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융노조의 주 4.5일제 도입 주장이 은행권 내부에서 공감을 받지 못하는 분위기도 있다. 주 4.5일제 도입 자체에는 찬성하지만, 당장 은행권이 총대를 메고 먼저 시작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은행 관계자는 “주 4.5일제가 사회 전반적으로 실행되면 좋겠지만, 다른 기업과 고객이 쉬지 않는데 은행이 먼저 실시하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하는데 혼란이 있을 것"이라며 “막상 은행이 먼저 주 4.5일을 도입한다고 해도 금요일 오후에 자리를 비우기 어려워 초과 근무가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디지털 전환과 업무 효율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영업점 운영시간 단축이나 근무일수 축소가 곧바로 금융소비자 편의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제도 도입에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중은행들은 총파업으로 혹시나 발생할지 모를 서비스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응책을 마련한 상태다. KB국민은행은 지역별 거점점포를 지정하고 해당 점포를 중심으로 관할 지역 내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가용 인력이 70% 미만으로 감소하면 일반 영업점의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울 수 있어 인근 점포 직원이 지원하는 등 단계별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신한은행 또한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비상 대응 체계를 갖췄으며, 다른 시중은행들도 고객 서비스 제공에 불편이 생기지 않도록 준비하고 있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