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저탄소가 시대적 트렌드”…‘기후변화 사기극’ 트럼프 빈자리 노리는 시진핑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25 12:25

시진핑 UN 기후 정상회의서 “2035년까지 온실가스 7~10% 감축”
“파리협약 부응하는 중국의 노력”…트럼프와 정반대 행보
“너무 소극적” vs “초과 달성 가능”…의견 엇갈려
트럼프, 관세로 중국 견제…미중 대립 심화 가능성도

UN General Assembly Climate Summit

▲24일 UN 기후회의에서 화상을 통해 연설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AP/연합)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국제사회 무대에서 처음으로 구체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하며,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이는 화석연료로 돌아가야 “다시 위대해진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돼, 미·중 대립 구도가 심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 기후 정상회의 화상연설을 통해 2035년까지 자국 경제 전반에 걸친 온실가스 배출량을 고점 대비 7~10% 줄이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향후 10년 동안 중국의 풍력·태양광 발전 설치 용량을 2020년 수준 대비 6배 확대하고 에너지 믹스에서 비(非)화석연료 비중을 30% 이상으로 높이겠다고 공언했다. 또 산림 축적량(나무 전체의 부피)을 240억㎥ 이상 달성하고 신규 자동차 판매에서 신에너지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가 주류를 이루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이 이처럼 수치화된 감축 목표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 주석은 과거 2020년 9월 △2030년까지 탄소 배출 정점 △2060년 탄소 중립 실현 등을 약속한 바 있다. 유럽연합(EU) 산하 '지구 대기 연구를 위한 배출 데이터베이스'(EDGAR)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에서 중국이 차지한 비중은 30.1%로 집계됐다. 미국(11.3%), 인도(7.8%), 유럽연합(EU·6.1%) 등이 뒤를 이었다.


시 주석은 이날 연설에서 “이 목표들은 파리기후협악의 요구에 부응하는 중국의 최선의 노력을 보여준다"며 “이를 달성하려면 중국의 고된 노력과 더불어 지원적이고 개방적인 국제 환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녹색 및 저탄소 전환은 시대적 트렌드"라며 “일부 국가들은 추세에 역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는 올바른 길을 가야 하고, 변함없는 신뢰를 유지하며, 흔들림 없는 행동과 끊임없는 노력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정 국가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기후변화를 '사기극'이라고 규정한 트럼프 대통령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미국이 기후변화 대응에서 물러서면서 중국이 '녹색 리더십'으로 국제사회를 이끌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를 두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간접적인 잽을 날렸다"고 평가했다.


CHINA-CLIMATE-ENERGY-COAL

▲중국의 한 석탄 저장 시설(사진=AFP/연합)

다만 중국의 이같은 목표가 야심차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핀란드 헬싱키에 위치한 에너지·청정대기 연구센터(CERA)의 로리 밀리비르타 수석 애널리스트는 “30% 미만의 배출 감축 목표는 '1.5도 목표'와 맞지 않는다"며 “지구 기온 상승폭을 1.5도, 혹은 2도 이하로 제한하려면 중국은 2035년까지 훨씬 더 큰 폭의 감축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블룸버그NEF도 최근 보고서에서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2035년까지 배출량을 2005년 대비 최소 43% 줄여야 한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여전히 화석연료 의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이 공동 설립한 비영리단체 '클라이밋 트레이스'는 지난 6월 중국의 배출량이 반등했다고 지적했다. 또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총 100GW 규모의 신규 석탄화력발전 건설을 시작했는데, 이는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다.


중국 칭화대학교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발전 연구소의 후빈 부교수는 중국이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10~15% 감축을 달성할 수 있다고 예상하면서도 “대내외적 요인"으로 감축 목표치를 30%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COMBO-US-CHINA-DIPLOMACY-TRUMP-XI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AFP/연합)

반대 의견도 있다. 국제 기후단체인 '350.org'의 정책캠페인 부국장 안드레아스 지버는 “중국은 덜 약속한 후 초과 달성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기대 이상의 성과를 보여주기 위해 목표치를 낮게 설정했다는 것이다.


BBC는 “중국이 기후 약속을 초과 달성한 사례가 과거에 있다는 점이 일부에 희망을 준다"고 전했다. 실제로 중국은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했던 풍력·태양광 발전 설비용량 목표(1200GW)를 6년 앞당긴 지난해 달성했다.


아시아소사이티정책연구소(ASPI) 중국 기후 허브 소장인 리슈오는 시 주석이 이날 약속한 배출 감축 목표치와 관련해 “천장이 아닌, 바닥으로 인식돼야 한다"며 “중국의 급속한 청정 기술 성장은 향후 10년 동안 훨씬 더 빠르게 발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둘러싼 시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의 정반대 행보가 미·중 패권 경쟁의 새로운 갈등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전임 바이든 행정부 역시 중국을 견제하는 전략을 취했지만, 기후 문제에 한해서는 협력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연설에서 “강한 국경과 전통적 에너지원이 있어야 다시 위대해질 수 있다"며 “녹색 사기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나라가 망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세계 각국의 동참을 권고했다.


그는 실제로 관세 전쟁을 통해 중국을 포함한 미국의 적대국과 협력하는 국가들에 언제든 제재를 가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대표적 사례가 인도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27일부터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기존 25% 관세에 더해 25%의 징벌적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주요 교역상대국들을 상대로 무역 협상을 벌이면서 “브릭스(BRICS)의 반미정책을 따르는 국가들은 추가 10% 관세를 부과받을 것"이라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