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올 겨울 평년보다 대체로 따뜻, 강수량은 적을 듯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24 08:48

기상청 3개월 전망, 10~11월 평년보다 기온 높고 12월 비슷
강수량은 12월 평년보다 대체로 적어, 10~11월 평년 수준
“라니냐 영향으로 우리나라 북풍 유입되면 추워질 수도”


지난 1월 10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옷을 두껍게 입은 채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월 10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옷을 두껍게 입은 채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겨울 기온이 평년보다는 대체로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11월은 지난해처럼 춥지 않을 가능성이 크지만, 12월은 기온차가 클 수 있다.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23일 기상청 3개월 전망에 따르면 오는 10월과 11월은 기온이 평년보다 대체로 높고, 12월은 평년과비슷할 것으로 전망됐다. 강수량은 10월과 11월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12월은 평년보다 대체로 적을 것으로 예상됐다.


오는 10~11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은 40%로 낮을 확률 20%보다 두 배 높다. 평년과 비슷할 확률은 40%다. 12월 기온은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로 절반에 이른다. 높을 확률은 20%, 낮을 확률은 30%다.


강수량 확률전망은 12월 적을 확률이 40%로 많은 확률 20%보다 두 배 높다. 10~11월은 비슷할 확률이 절반을 차지했다.


라니냐 발달해 우리나라 11~12월 기온, 강수량

▲라니냐에 따른 11~12월 기온, 강수량 전망 시나리오. 자료= 기상청 3개월 전망 해설서

3개월 전망 분석에 따르면 10월과 11월의 기온이 오를 수 있는 요인은 해수면온도와 대기 순환 변화에서 나타난다. 열대 서태평양이 따뜻해지고 중태평양이 상대적으로 차가워지는 국면에서는 아열대 서태평양 강수가 늘고 북태평양 강수가 줄어 일본 동쪽에서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된다. 이 가장자리를 따라 우리나라에 따뜻하고 습한 남풍이 유입되면서 10월 기온 상승 가능성이 커진다.




오는 11월에는 중위도 대서양 고수온이 상층 고기압성 순환을 만들고, 대기 파동을 통해 우리나라 부근 고기압성 순환을 유도해 기온을 끌어올릴 수 있다. 북대서양과 인도양의 동시 고수온 역시 우리나라 동쪽의 고기압성 순환을 강화해 11~12월 기온을 높일 요인으로 작용한다.


반면, 적도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낮아지는 라니냐가 발달하는 초겨울(11~12월)에 열대 서태평양 대류활동이 강화되며 필리핀 동쪽 하층에 저기압성 순환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동아시아로의 대기 파동을 통해 우리나라 부근 저기압성 순환과 북풍 유입이 강화될 수 있다. 이 경우 11~12월 기온이 평년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바렌츠–카라해 해빙이 적게 유지될 때 우랄산맥 부근 기압능과 대륙고기압이 강화돼 찬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가 열리며, 추워질 수 있다.


강수량도 기온과 유사한 변동 요인이 작동한다. 11월 강수량을 늘릴 요인으로는 북대서양·인도양 동시 고수온이 우리나라 동쪽 고기압성 순환을 강화될 때다. 반대로 라니냐 발달기(11~12월)에는 동아시아 대기 파동과 북풍 유입으로 건조 패턴이 강화돼 강수량이 줄어들 수 있다. 12월의 경우 바렌츠–카라해 해빙 감소에 따른 대륙고기압 강화로 차고 건조한 공기가 자주 유입돼 강수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특히 크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