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韓中 세탁기 전쟁] 사고 싶은 세탁기는 “LG·삼성”…비싼 가격 ‘걸림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24 16:32

■ 에너지경제-엠브레인, 세탁기 브랜드 14개 소비자 설문조사 (1)
응답자 53.9% LG세탁기 선호, 인지도도 LG·삼성 압도적
구매 핵심요소는 성능·가격…국산제품 단점 ‘비싸다’ 66%
외국산 중 美제품 인지도 높아…노년층 “월풀 구매 의향”

미국 LA 시내에 있는 대형 가전제품 매장 '베스트바이' 세탁기 코너에 LG전자 제품이 전시돼 있다. 사진=여헌우 기자.

▲미국 LA 시내에 있는 대형 가전제품 매장 '베스트바이' 세탁기 코너에 LG전자 제품이 전시돼 있다. 사진=여헌우 기자.

세탁기 브랜드

▲자료=에너지경제신문, 마크로밀 엠브레인

국내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세탁기 브랜드는 'LG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성능'이었으며, 국산 세탁기의 단점으로는 '비싼 가격'을 지적하는 경우가 많았다.


24일 에너지경제신문이 마크로밀 엠브레인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3.9%는 가격과 성능이 비슷하다고 가정할 경우 'LG전자' 세탁기를 구매하고 싶다고 답했다. '삼성전자'는 30.5%로 뒤를 이었다.


1~3순위 중복 선택을 허용할 경우 미국 브랜드 약진이 눈에 띄었다. 'LG전자'(81.2%)와 '삼성전자'(73.9%)가 압도적인 선호도를 보인 가운데 '제너럴일렉트릭'(GE, 12.3%), '월풀'(10.9%) 등이 대안으로 지목받았다. '밀레'(9.9%), '일렉트로룩스'(9.3%) 등 유럽 가전은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 '로보락'(8.5%), '파나소닉'(6.7%), '도시바'(3.1%), '히타치'(2.3%) 등을 선택한 경우도 있었다.




만 50~59세와 60~79세 연령층에서 '월풀'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각각 4.8%, 4.7%로 가장 높게 나왔다는 점이 눈길을 끌었다. 만 19~29세는 0.4%만이 '월풀'을 사겠다고 응답했다. 60~79세 소비자들은 'GE' 세탁기 구매 의사(4.3%) 또한 19~29세(1.7%), 30~39세(0.4%) 등 젊은층보다 훨씬 높았다.


세탁기

▲자료=에너지경제신문, 마크로밀 엠브레인

LG전자와 삼성전자는 인지도 측면에서도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알고 있는 세탁기 브랜드'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대부분이 'LG전자'(94.1%)와 '삼성전자'(90.2%)를 골랐다. '월풀'(30.2%), 'GE'(27.6%), '일렉트로룩스'(26.7%), '파나소닉'(20.3%), '밀레'(19.1%), '로보락'(16.7%), '도시바'(15.1%) 등이 뒤를 이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세탁기'는 LG전자가 57.4%, 삼성전자가 38.4%, 기타가 2.8%였다. '기타'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이들을 연령별로 보면 만 19~29세가 5.2%로 다른 연령대(1~2% 안팎)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고객들이 선호하는 세탁기 유형은 다양했다. '드럼세탁기'(38.3%), '건조 기능이 통합된 세탁건조기'(35.1%), '통돌이세탁기'(26.6%) 등이다. 19~29세 젊은층의 경우 통돌이(20.5%)에 대한 선호도가 전 연령대에서 가장 낮은 대신 '건조 기능이 통합된 세탁건조기'(43.2%) 선택 비중은 가장 높았다.


세탁기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는 '성능'(41.3%)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이 나왔다. '가격'(12.4%), '애프터서비스'(A/S, 11.5%), '제조사 브랜드 이미지'(8.8%) 등이 뒤를 이었다. '제조사 국적'(5.0%), '스마트 기능'(1.5%), 디자인(0.9%) 등은 거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


1~3순위 중복 선택을 허용할 경우에도 '성능'(71.8%)과 '가격'(51.7%) 민감도는 높았지만 '스마트 기능'(7.7%)과 '디자인'(7.1%) 중요도는 다소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들은 국산 세탁기의 최대 단점으로 '비싼 가격'(66.5%)을 꼽았다. '제품 라인업 다양성 부족'(9.4%), 'A/S 불만'(5.4%) 등을 지적한 경우도 있었다.



세탁기

▲자료=에너지경제신문, 마크로밀 엠브레인

LG·삼성전자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도 '가격 경쟁력 강화'(54.3%)라는 답이 제일 많이 나왔다. '연구개발 역량 강화'(24.1%), '세금 혜택 등 정부 지원'(10.1%)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3일까지 진행됐다. 만 19세 이상 남성 755명, 여성 745명을 대상으로 인구비례할당을 통해 실시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모바일 조사 형식이다. 신뢰수준은 95%다. 비확률표집 조사라 통계학적으로 산출되는 표본오차는 제공되지 않는다. 동일 규모 단순 무작위추출 조사라고 가정하면 최대 표본오차는 ±2.5% 포인트(p) 수준이다.


1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됐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