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안리재보험.
코리안리재보험이 유럽과 북미를 비롯한 해외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유일의 전업 재보험사를 넘어 '글로벌 탑클래스 재보험사'로 도약하기 위함이다.
2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코리안리 보험수익 내 해외 비중은 약 44%로, 2022년 35%·지난해 41%에 이어 상승세를 그렸다. 2030년 목표는 50%다. 연간 3%포인트(p)씩 상승하는 추세가 이어지면 2027년 조기 달성이 가능하다.
코리안리가 이같은 행보를 보이는 이유로는 실적 향상이 꼽힌다. 상반기 해외 P&C 합산비율은 81.5%로 국내 P&C(95.1%)와 L&H(90.0%)을 하회했다. P&C는 재산·상해 관련 재보험사업, L&H는 생명·건강보험 사업을 의미한다. 합산비율은 순보험비용(보험서비스비용-재보험수익)을 순보험수익(보험수익-재보험서비스비용)으로 나눈 것으로, 낮을수록 수익성이 크다는 의미다.
해외 P&C 합산비율은 지난해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산불과 미얀마 지진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p 악화됐지만, 국내 P&C 보다 낮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도 영남 지방을 강타한 산불과 금호타이어 화재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영향이다.
수취보험료도 국내 P&C는 3.9% 하락한 반면, 해외 P&C는 8.8% 증가하는 등 희비가 엇갈렸다. 이는 일반·장기손해보험손익과 생명보험손익의 총합이 2조4830억원에서 2조3827억원으로 2.3% 감소했지만, 해외 일반손해보험손익은 7773억원에서 8275억원으로 6.5% 불어나는 결과로 이어졌다.
원보험사-재보험사간 손실 부담율이 사전에 정해지는 비례재보험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내 재보험 시장 환경도 언급된다.
재보험사의 보험영업 실적이 원수사의 보험영업 수익성에 일정 부분 연동하게 되는 특성상 업황 부진·자연재해·사고의 영향으로 원수사의 실적이 하락하는 국면이 달갑지 않다는 것이다.
아시아 점유율 40% 깨졌다…유럽, 단일지역 기준 '최대주주'·북미 2위
코리안리는 포트폴리오 조정으로 해외 실적을 더욱 불린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해외수재에서 유럽의 비중은 2022년 20%대로 상승했고, 지난해 26.1%로 상승한 이후 올 상반기는 28.1%로 더욱 증가했다. 1분기 해외법인의 흑자전환을 이끈 것도 취리히에 위치한 스위스법인(-72억원→42억원)이었다.
북미의 경우 2022년 20%대로 진입한 뒤 지난해 극동아를 제치고 2위(23.3%)로 올라섰고, 올 상반기는 25.3%으로 집계됐다. 현지 특종보험 지분을 늘린 것이 북미 비중 확대에 일조했다. 코리안리는 미국 동부 뉴저지에 중개법인을 운영 중이다.

▲코리안리 지역별 해외수재 비중(단위 : %)
중남미의 경우 비중이 하락했으나, 시장 잠재력이 높은 만큼 보고타사무소 등을 중심으로 영업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원종규 사장이 최근 콜롬비아에서 현지 보험업계·금융당국 관계자들과 만난 것도 고객 기반 확대를 위한 포석이다.
2023년 기준 시장 규모(2000억달러·약 285조원)가 최근 5년간 10% 이상 커졌음에도 여전히 보험 침투율이 낮고, 중산층 확대도 예상되기 때문이다.
반면 전통의 강호였던 아시아 지역의 입지는 약해졌다. 2020년 50.3%에서 2021년 47.7%, 2022년 46.9%, 2023년 46.2%, 지난해 41.2%에 이어 올 상반기 37.0%까지 떨어졌다.
동남아(7.8%)에서는 단체 건강보험을 비롯한 실적 불량 계약의 인수가 중단됐다. 중동(12.4%)은 이스라엘과 튀르키예를 비롯한 지역의 지진 리스크가 있고, 장기 간병 보험 특약의 인수도 멈췄다.
설용진 SK증권 애널리스트는 전년도까지 해외 생명보험을 중심으로 부채 적립 부담이 완화되는 등 이익 개선 흐름이 이어졌고, 올 2분기에도 해외 생보 손실계약 종료 및 요율 인상을 비롯한 요인으로 L&H 부문이 564억원의 순이익을 시현하는 등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