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흔들리는 脫탄소] 들쑥날쑥 ‘태양광·풍력’ 재생에너지…석탄발전 부추긴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02 11:00

‘어두운 무풍’ 둥켈플라우테 연 1.6회 발생…화석연료 수요 급등

USA-RENEWABLES/OUTLOOK

▲태양광(사진=로이터/연합)

한국을 포함해 지구촌을 강타한 폭염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이재명 정부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 도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그러나 재생에너지발전이 고질적 문제인 간헐성이 오히려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 세계 각국이 제시한 기후목표가 위협받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 에너지 전문 컨설팅업체 우드맥킨지에 따르면 일조량이나 바람세기에 따라 재생에너지 발전이 일정하지 않은 이른바 '간헐성' 문제로 유럽의 에너지 안보가 위협받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럽에서는 일조량과 풍량이 감소해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저조한 '둥켈플라우테'(Dunkelflaute·어두운 무풍 상태) 현상이 11월부터 1월 사이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이중 41%는 기간이 3일을 넘은 것으로 분석됐다. 우드맥킨지는 또 유럽 에너지 시장은 앞으로도 1년에 1.6회의 둥켈플라우테를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해상풍력에 의존도가 큰 북유럽 지역이 가장 크게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벨기에의 경우 1년에 3 차례의 둥켈플아우테를 겪는다.


문제는 이같은 현상이 일어날 때마다 화석연료 수요가 오른다는 점이다. 특히 난방수요가 급증하는 한겨울에 둥켈플라우테가 발생하면 석탄과 천연가스 수요 증가를 부채질한다.




우드맥킨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둥켈플라우테가 발생했을 당시 독일은 3일에 걸쳐 평균 10.5기가와트(GW)의 전력을 수입했고 자국 내에서도 석탄과 천연가스 발전량이 급증했다. 이로 인해 한때 전력 도매시장에서 가격이 메가와트시당 820유로(약 130만원)까치 치솟기도 했다.


또 지난해 독일에서 두 차례의 둥켈플라우테에 따른 천연가스 가격 급등으로 발전업체들은 50% 이상의 수익을 냈다고 우드맥킨지는 전했다.


우드맥킨지는 그러면서 독일은 2030년에도 둥켈플라우테에 대응하기 위해 석탄과 천연가스 기반의 화석연료 발전이 필수라고 내다봤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우드맥킨지의 매튜 캠벨 선임연구원은 “유럽이 간헐적인 풍력과 태양광 발전 중심의 전력 시스템으로 전환함에 따라 이런 극한적인 기후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라며 “가동률이 하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스발전소는 여전히 중요하며 유럽 시장에서 가치가 인정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통신은 “기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유럽의 청정에너지 전환에 따른 위험을 상기시킨다"고 지적했다.


한편, 세계 각국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이 확장되는 속도가 느려 기후 목표를 지키지 못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싱크탱크 엠버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 글로벌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7.4테라와트(TW)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그러나 지난 2023년 두바이에서 개최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합의된 2030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목표치를 밑도는 수준이다. 세계 각국은 COP28에서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2030년까지 3배 확충하는 데 동의했다. 엠버는 설비용량이 최소 11TW에 달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같은 분석이 나오는 배경엔 세계 각국이 재생에너지 확장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엠버에 따르면 COP28 이후 재생에너지 목표를 상향한 국가는 22개국에 불과하며 이중 대다수는 유럽연합(EU) 회원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파리협약 탈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비롯한 친환경 정책 축소 등의 행보를 보인 만큼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치를 제시할 가능성이 낮다.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은 재생에너지 목표치를 더 확대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캐나다, 튀르키예, 러시아 등은 올해 COP30가 열리기 전까지 목표를 상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케이티 알티에리 애널리스트는 “COP에서 높은 수준의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약속과 발전 계획이 수립되는 현실과 괴리감이 있다"며 “국가별 재생에너지 목표는 시장에 정책 시그널을 보내지만 많은 국가들이 이를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