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찬우

lcw@ekn.kr

이찬우기자 기사모음




매출 최대-영업익 급감…기아, ‘하이브리드 희망’ 봤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25 16:10

2분기 매출 29조3496억 6.5%↑, 영업익 24.1%↓

하이브리드 23.9%↑ 힘입어 친환경차 14.0% 증가

하반기 美공장서 공급 확대로 관세부담 최소화 주력

더 기아 EV5.

▲더 기아 EV5.

미국 관세 여파로 기아의 상승세가 꺾였다. 매출은 사상최대치를 기록했지만 관세영향으로 비용이 증가해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기아는 하반기 전망도 어둡지만 친환경차 판매 확대를 통해 실적 방어에 나설 방침이다.


기아는 25일 2025년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하며 컨퍼런스콜을 진행했다.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한 29조3496억원으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미국발 관세 영향과 글로벌 시장 경쟁 심화로 24.1% 감소한 2조7648억원에 머물렀다. 영업이익률은 9.4%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크게 떨어졌다.


컨퍼런스콜에서 김승준 기아 재경본부장은 “미국 시장에서 5월부터 관세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며 “관세라는 외부 변수가 없었다면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유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반기는 상반기보다 더 도전적인 환경이 예상된다"며,“관세와 같은 외부 변수에도 불구하고 체력 강화와 이익 창출 능력 제고를 기회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2분기 글로벌 판매는 81만4888대로 2.5% 증가했다. 국내(3.2%↑)와 북미(4.1%↑), 인도(9.5%↑) 등 주요 시장에서의 성장세가 매출 확대에 기여했다.


특히, 하이브리드 수요 증가와 전기차 신모델 흥행으로 친환경차 판매는 전년보다 14.0% 늘어난 18만5000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비중도 전체 판매의 23.4%까지 상승했고, 하이브리드(11만 1000대, 23.9%↑)와 전기차(5만9000대, 8.3%↑)가 판매 증가를 견인했다.


기아는 미국 조지아 공장에서 생산한 차량을 현지 공급에 집중하는 등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동시에 하반기에는 EV5, PV5 등 신차를 앞세워 전기차 라인업 확대에 주력하고,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판매 확대와 신규 세그먼트 진출로 시장 지배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기아 관계자는 “글로벌 통상 환경 악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소비 위축 등 불확실성이 이어질 전망"이라며 “고부가가치 차량 중심의 판매 전략, 원가 효율화 등을 통해 근본 경쟁력 확보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