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은 0.6%로 집계됐다. 사진은 서울 시내 아파트 및 빌라단지의 모습.
2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1분기 대비 0.6% 성장했다. 민간소비 회복과 함께 수출도 반도체·석유화학제품 등의 호조로 4% 넘게 증가한 영향이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수출은 약화되나 민간소비는 뚜렷하게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은 0.6%로 집계됐다.
GDP 성장률은 작년 1분기 1.2%로 깜짝 성장한 이후 2분기 -0.2%로 하락했다. 3분기와 4분기는 각각 0.1%로 정체됐다가 올해 1분기 -0.2%로 다시 뒷걸음질쳤다.
그러나 2분기 성장률은 0.6%로 한국은행 당초 전망치(0.5%)를 0.1%포인트(p) 상회했다.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승용차 등 재화와 오락문화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5%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 급여비를 중심으로 1.2% 늘었다. 건설투자는 건물 및 토목 건설이 줄어들어 1.5%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와 선박 등 운송장비가 줄어 1.5%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 석유・화학제품 등이 늘어 4.2% 증가했고, 수입은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3.8% 증가했다.
2분기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순수출(수출-수입)과 내수가 각각 0.3%포인트씩 성장률을 끌어올렸다. 특히 내수 기여도는 작년 4분기 -0.1%, 올해 1분기 -0.5%에서 2분기 0.3%로 반등했다.
내수 가운데 민간소비와 정부소비가 각각 0.2%포인트씩 성장률을 밀어올렸다. 반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는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씩 성장률을 깎아내렸다.
경제활동별 GDP를 보면 농림어업은 어업을 중심으로 1.4% 감소했다. 제조업은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등을 중심으로 2.7% 성장했고,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기업을 중심으로 3.2% 감소했다. 건설업은 건물 및 토목 건설이 줄어 4.4% 감소했고, 서비스업은 정보통신업 등이 줄었으나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부동산업 등에서 늘어 0.6% 늘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1.3% 증가해 실질 GDP 성장률(0.6%)을 상회했다.
다만 올해 하반기부터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수출입 부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2차추경, 심리회복 등으로 민간소비와 내수는 호조를 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정여경 NH투자증권 연구원은 “8월 1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재개와 반도체, 의약품 관세 도입은 하반기 한국 수출의 위축 요인"이라며 “1~2차 추경은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 걸쳐 한국 성장률을 각각 0.3%포인트씩 제고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기업 체감경기는 2개월 연속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7월 기업경기조사에 따르면 7월중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90.0으로 전월에 비해 0.2포인트 내렸다. 다음달 전망 CBSI도 88.4로 전월에 비해 1.0포인트 내렸다.
데이터 및 인공지능(AI) 시스템 구축 수요, 냉방용 전력 수요 등으로 비제조업 업황이 개선됐지만, 관세 관련 불확실성 및 품목별 관세 부과 확대 등으로 제조업 CBSI가 2.5%포인트 하락하면서 전산업 CBSI도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내렸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가운데 주요 지수(제조업 5개, 비제조업 4개)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장기평균치(2003년 1월 ~ 2024년 12월)를 기준값 100으로 해서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