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순천향대 교수 연구 논문 발표…흡연량 증가와 정비례
연간 40만명 내외 진료, 금연 기간 10년 이상이면 위험 감소

▲조현 순천향대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지방간은 간에 과도한 지방이 쌓여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간의 5% 이상이 지방이면 지방간으로 진단한다. 간세포 중 5%에서 약 30% 이하가 지방으로 이루어지면 경증 지방간, 30~60%면 중등도 지방간, 60%가 넘어가면 중증 지방간이다.
지방간은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 지방간과 과도한 열량 섭취로 인한 비알코올 지방간으로 크게 나눈다. 과거에는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만이 지방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으나, 최근에는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에서도 지방간이 자주 발생한다. 이처럼 술을 거의 먹지 않는 사람에서 발생한 지방간을 비알코올 지방간이라고 한다.
흡연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가 나왔다. 또한 금연 기간이 10년 이상일 경우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이 감소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조현 교수 연구팀은 국제 학술지(PLoS One)에 최근 발표한 '흡연 상태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연관성' 논문에 이 같은 내용을 담았다.
연구팀은 순천향대 천안병원 건강검진센터의 데이터를 활용해 2018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남성 1만 2241명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과거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이 1.19배 높았으며 흡연자의 경우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에 담배 한갑을 10~20년 동안 피운 사람은 비흡연자에 비해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이 1.289배 높게 나왔다. 반면 금연 기간이 길어질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10년 이상 금연한 사람은 10년 미만 금연한 사람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위험이 1.33배 감소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 통계를 보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연간 진료인원은 2020년 36만7346명, 2021년 40만5950명, 2022년 40만7719명, 2023년 40만4447명, 2024년 39만4178명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지나친 첨가당류나 고탄수화물 식사,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주요 원인이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흡연이 간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금연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을 낮추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많은 흡연자들이 금연을 결심하는 데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은 과도한 열량 섭취로 인해 생기므로 비만 및 당뇨병과 연관되어 발생하며, 한 가지 병이라기보다 가벼운 지방간에서 만성 간염, 간경변증, 간암에 이르는 다양한 병을 포함한다.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간병변·간부전에 이어 간암으로까지 악화할 수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간염이나 과도한 음주 없이 지방이 축적되는 상태를 말하며, 최근 비만과 관련된 문제로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