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은지

elegance44@ekn.kr

김은지기자 기사모음




김태흠,지천댐 건설 강행 밝혀...“해수담수화보다 댐이 현실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6.30 16:22

김 지사 “포기 못 할 국가 인프라”...충남 서부 물 부족·전력 위기 정면돌파 선언

“해수담수화는 전기요금·비용 부담 더 커, 댐이 생태계 복원 가능”…

김태흠 충남지사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30일 민선 8기 3주년 기자회견에서 지천댐 건설 사업에 대한 강한 추진 의지를 재확인했다. 제공=충남도

충남=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민선 8기 3주년을 맞아 가진 기자회견에서 지천댐 건설 사업에 대한 강한 추진 의지를 거듭 밝혔다. 그는 지천댐이 단순한 지역 개발 사업이 아니라 국가 미래 자원 안보와 직결되는 핵심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자원이 없는 대한민국에서 전력과 물은 곧 미래의 핵심 자원입니다. 이 사업은 그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목에 칼이 들어와도, 당장 직을 내려놓더라도 포기할 수 없습니다."


김 지사의 이 같은 발언은, 그동안 지천댐 사업을 둘러싼 갈등과 오해에 대해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일부 주민 반발이 이어지고 있지만, 김 지사는 “반대 인원은 전체 대비 많지 않다"며, “여론조사 조작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그는 “응답률이 30%를 넘는 조사는 통상 신뢰할 만하다"며 조사 정당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 “정권이 바뀌었다고 이미 확정된 정책을 백지화하는 건 올바른 행정이 아니다"라며, 정부 정책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강조했다. “전국적으로 1314개 댐 건설계획 중 910개는 이미 확정된 상태이다. 정권 교체를 이유로 이런 계획이 무효화된다면 그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도는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 보완책도 마련했다. 김 지사는 “기존 기준으로는 약 370억원의 주민지원금이 가능했지만, 시행령 개정을 통해 국가가 770억원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충남도가 추가로 지원하겠다고 밝힌 곳은 우리뿐"이라며 차별성을 설명했다.




물 부족 위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올봄과 같은 가뭄이 반복되면 충남 서부지역은 식수 제한이나 절수 조치를 피할 수 없다"며, 지천댐이 자체 수자원 확보를 위한 유일한 현실적 대안임을 전했다. 현재 부여·청양 지역은 대청댐과 보령댐에 의존하고 있으며,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천댐 반대 대책위에서 대안으로 거론되는 해수담수화에 대해서는 “건설비와 유지비가 댐보다 몇 배 더 들고, 그에 따른 전기요금 상승은 결국 주민과 기업에 부담으로 돌아온다"며 비효율성을 지적했다.


실제로 해수담수화 방식 중 하나인 역삼투압(SWRO)의 경우, 세제곱미터(㎥)당 전력 소비량이 약 45킬로와트시(kWh)에 달하며, 단위 물 생산 비용은 ㎥당 6001,200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연간 수십만 톤의 용수가 필요한 충남 서부권에 이를 적용할 경우, 막대한 전력 소모와 생산단가 상승은 사실상 지속 가능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는 전통적인 댐 수자원보다 비용 부담이 높은 구조로, 장기적으로 산업 경쟁력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 지사는 이 같은 이유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전기요금 상승을 초래했고, 이는 기업의 부담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환경 우려에 대해서도 김 지사는 “지금도 축산 오염원 때문에 지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댐은 오히려 수질관리와 생태복원 효과를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충남도는 앞으로 지천댐 추진을 위한 전담 TF와 구성된 지역 주민 협의체와 소통을 강화하고, 사업 타당성과 수용성을 높여간다는 방침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