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대선 앞두고 먹거리 물가 ‘비상’…정부, 물가 안정 위해 총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18 10:18
식품업계, 1분기 대체로 '실적 부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식품류 모습./사진=연합뉴스

대선을 앞두고 먹거리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계란과 돼지고기를 비롯한 주요 축산물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맥주와 우유 등 가공식품 가격도 줄줄이 인상되며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을 다하기로 했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 조사 결과 작년 같은 달보다 농축산물은 0.8% 상승해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가공식품은 4.1%, 외식은 3.2% 각각 상승했다.


축산물의 경우 수급은 대체로 양호하지만 돼지고기 가격은 작년보다 비싸졌다. 이는 햄, 소시지 등 가공식품 원료로 사용하는 국내산 돼지고기 뒷다리 수요가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식품업계도 원자재 수급 상황을 이유로 가격 인상에 나섰다. 맥주업계에선 맥주 가격을 올리기로 했고 가공식품·라면업계 대부분이 주요 제품 가격을 일제히 올렸다.


정부의 관리가 부재한 틈을 타서 가격을 올리고 새 정부 들어서면 가격을 올리기가 수월하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제1차관은 최근에 주재한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배추・무・감자 등 봄 채소 출하가 본격화되고 있으나, 무, 양파, 마늘, 돼지고기, 계란 등 일부 품목의 가격이 여전히 높은 만큼 품목별 가격・수급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장바구니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활용해 이달 22일부터 2주간 농산물 할인지원 품목을 국산 농산물 전품목으로 확대하고 지원액을 1인당 1만원에서 2만원으로 상향할 계획이다. 특히 재고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한 깐마늘에 대해서는 같은달 19일부터 정부 비축물량 450톤을 추가 방출한다.


돼지고기 등 축산물은 자조금 활용 할인행사를 같은달 31일까지 진행하고 돼지고기 원료육(1만톤) 할당관세를 적용받는 수입업체와 함께 햄, 소시지 등 가공식품 가격 할인도 추진할 예정이다. 수산물은 최근 소비 수요가 많은 갈치는 400톤에서 500톤으로 오징어는 600톤에서 700톤으로 정부 비축물량 공급 규모를 확대하는 등 어한기(5~6월) 공급 감소에 적기 대응할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외식업체의 배달앱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공공배달앱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추경으로 확보한 650억원을 활용해 공공배달앱으로 2만원 이상씩 3회 주문한 소비자에게 할인 쿠폰을 1만원 지급하는 행사를 열기로 했다. 행사는 다음 달 말부터 진행할 예정이고 쿠폰 지급 대상은 650만명이다.


김 직무대행은 석유류 가격과 관련해 유류세 환원분 이상으로 과도한 가격인상이 없도록 현장점검을 지속해달라고 소관 부처에 당부했다. 지난 1일 유류세 일부 환원 이후 휘발유・경유 가격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추경으로 확보한 할인지원 예산 1200억원을 가정의 달, 여름 휴가철 등 등 성수기에 집중 투입하는 등 농식품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인다. 가격 담합 등 불공정 거래행위가 의심되는 경우 관계부처와 함께 강도 높은 조사와 처벌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