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만 배럴의 원유를 선적한 쿠웨이트 국제공동비축 운반선의 모습. 한국석유공사
한국석유공사가 쿠웨이트산 원유 200만 배럴이 국내에 도착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석유공사와 쿠웨이트 국영석유회사 KPC가 지난해 10월 31일 체결한 400만 배럴 규모의 국제공동비축 계약에 따라 이뤄졌다.
석유공사는 이를 통해 석유 공급망 위기 대응능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국제공동비축은 석유공사가 보유한 비축시설 가운데 유휴시설을 해외 국영석유사 등에 임대해 원유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평상시에는 저장시설 임대를 통해 외화 수익을 얻고 국가 위기 발생시에는 해당 원유를 우선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한다. 석유공사의 저장시설은 국내 대형 원유 수요처인 정유사들과 송유관으로 직접 연결돼 있다.
우리나라는 이번 입고를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등 중동 주요 3개국의 원유 총 1330만 배럴을 국제공동비축 형태로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 2023년 기준 국내 일일 원유 수입량이 약 280만 배럴인 점을 감안하면 중동산 국제공동비축 원유만으로 4.8일가량을 버틸 수 있다.
김동섭 석유공사 사장은 “앞으로도 국제공동비축 사업을 더욱 확대하고 대한민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