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태민

etm@ekn.kr

이태민기자 기사모음




사상 첫 홈쇼핑 블랙아웃 현실화…케이블TV協 “명백한 시청자 차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2.05 11:13

CJ온스타일, 케이블TV 3곳 송출 중단…업계 최초
송출수수료 갈등 폭발…협회 “생태계 균형 붕괴”
과기정통부, 대가검증협의체 가동…중재 나서

오나아

▲5일 딜라이브 채널에서 CJ온스타일의 송출 중단 관련 공지가 안내되고 있다. 사진=독자 제공

사상 최초의 홈쇼핑 송출 중단(블랙아웃) 사태가 벌어졌다. CJ온스타일이 송출수수료 갈등을 빚은 일부 케이블TV 사업자에 대한 방송 송출을 전면 중단하면서다.


5일 유료방송업계에 따르면 4대 홈쇼핑 중 한 곳인 CJ온스타일은 이날 자정을 기해 딜라이브·아름방송·CCS충북방송에 대한 방송 송출을 중단했다. 현재 이들 채널에선 'CJ온스타일이 방송제공을 중지해 방송이 중단되고 있다'는 내용의 안내 자막이 송출되고 있다.


이같은 사태가 벌어진 건 양 사업자 간 송출수수료 협상이 결렬됐기 때문이다. 송출수수료는 홈쇼핑사가 유료방송사에 채널을 배정받고 지불하는 비용으로, 지상파 채널에 가까워 소비자의 접근성이 높은 번호일수록 금액이 높게 책정돼 있다. 협상을 통해 수수료율이 결정되면, 해당 기준을 당해 1월부터 협상 완료 시점까지 소급 적용하는 구조다.


홈쇼핑업계는 판매 수익의 절반 가량이 수수료로 나간다며 인하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유료방송업계는 홈쇼핑의 온라인·모바일 매출이 반영돼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방송 도중 앱으로 연동되는 QR코드·카카오톡 등을 통한 구매를 유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를 기점으로 홈쇼핑과 유료방송 간 송출수수료 갈등이 심화되면서 블랙아웃을 예고한 사례는 있었으나, 실제로 현실화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방송 3사에 대한 송출을 중단한 건 4대 홈쇼핑 중 CJ온스타일이 최초다.




CJ온스타일은 지난해 케이블TV 가입자가 전년 대비 5% 미만으로 소폭 감소한 가운데 3사에 대한 송출수수료를 60% 이상 인하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8VSB(8레벨 잔류 측파대) 서비스 가입자를 산정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도 포함됐다. 3사가 이를 거부하자 송출 중단을 결정한 것이다.


이에 대해 유료방송업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정 가입자군에 대한 차별적 조치를 통해 수익성만 우선시하며 방송 생태계 균형 붕괴와 국민의 기본 시청권 침해를 야기한 것이란 입장이다. 이번 사태로 향후 인터넷TV(IPTV) 등 업계 전반으로 수수료 갈등이 확전될 수 있다는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KCTA)는 입장문을 내고 “송출수수료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콘텐츠 사용료 등으로 활용돼 시청권 확대와 양질의 방송 콘텐츠 제작을 뒷받침해 왔다"며 “이를 통해 홈쇼핑 시청자를 늘리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왔음을 고려하면 CJ온스타일의 이번 결정은 상호 의존적 구조를 근본적으로 흔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협회는 또 “8VSB의 주 가입자가 중장년층과 미디어 취약계층임을 감안하면 명백한 시청자 차별"이라며 “엄격한 시장 진입 규제 아래 운영되는 홈쇼핑 사업자가 송출중단과 같은 극단적인 조치를 강행한 것은 모두에게 부정적 영향"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달 초 마련한 대가검증협의체에서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협상 기간 종료까지 사업자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거나, 사업자 한 쪽이 협의 종료 의사를 밝힐 경우 양측 중재를 위해 가동된다. 과기정통부의 홈쇼핑 방송 채널 사용계약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협의체는 가동 이후 60일간 운영되며, 필요시 30일이 추가될 수 있다. 최종 결과는 내년 1월쯤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