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쌀쌀한 날씨를 보인 지난 21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시민들이 외투를 입은 채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주말에 비가 내린 후 다음주 평일부터 기온이 뚝 떨어질 것으로 예보됐다. 본격적인 겨울 날씨가 다음 주부터 시작될 전망이다.
기상청은 31일 열린 예보브리핑에서 다음달 4일부터 대륙고기압 확장으로 북서풍이 강하게 불어오면서 서울 지역의 기온이 급격하게 하락, 최저기온이 3도(℃)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보했다. 강함 바람으로 체감온도는 이보다 더 낮을 전망이다.
다음달 5~6일에도 고기압 영향권으로 바람은 약해지겠지만 밤 사이에 서리도 일 예정이다. 같은달 7일에는 점차 고기압이 동쪽으로 빠지면서 남풍류의 유입으로 평년 기온을 회복한다.
이번 추위는 기압계 변동으로 기온이 급감하는 것으로 다음달 9일에는 최저기온이 9도 정도로 올라갈 전망이다. 11월 날씨 답게 일교차는 클 예정이다.
다음달 2일부터 9일까지 서울 지역 예상 최저, 최고기온 범위는 △2일 12~22도 △3일 12~20도 △4일 8~12도 △5일 3~11도 △6일 4~13도 △7일 5~15도 △8일 7~15도 △9일 9~16도 등이다.
올 겨울, 특히 11월은 평년보다 기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의 3개월 전망에 따르면 11월의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과 비슷할 확률은 각각 40%로 전반적으로 온화하겠다. 평년보다 기온이 낮을 확률이 20%로 높을 확률에 절반 수준인 것이다.
비는 제주도를 중심으로 남쪽 지방을 중심으로 내릴 전망이다.
다음달 1일 새벽 제주와 전남·전북남부·경남부터 비가 오기 시작해 오전 중 남부지방 전체로 확대된다.
이 비는 충청남부내륙과 남부지방에서 토요일인 11월 2일 오전까지, 제주에선 같은 날 오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 강수량은 다음달 2일까지 △전남 남부 20~60mm △광주·전남북부 10~40mm △부산·울산·경남 20~60mm △대구·경북 5~40mm △제주도 50~150mm 등이다. 비가 천둥과 번개를 동반하고 시간당 30㎜ 안팎으로 쏟아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비는 대만 태풍 콩레이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내륙의 찬공기가 만나는 곳을 중심으로 온다. 만약에 수증기가 기상청 예상보다 더 북상한다면 예보보다 더 많은 비가 내릴 수 있다. 반대로 수증기가 예상보다 북상하지 못한다면 비가 덜 내릴 가능성이 존재한다.
![[김유승의 부동산뷰]“서울 주택 부족, 애물단지 지산이 대안”…특혜 논란·규제 완화 ‘숙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19.73d69237eba645ffbcdfe377c818c1c5_T1.jpg)

![[신간] “당신은 살아남을까?” 1인 기업으로 거듭나는 크리에이터 생존 전략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57d19f8cb80e4ff49ac295cfe45372af_T1.jpg)

![[주말 날씨] 기온 오르며 포근…강원 산지 강풍·건조 산불 위험](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3d554da0e44a46b08e21a74ebf959c9d_T1.png)

![[단독] 화석연료 내쫓던 기후부, 전력 대책회의에 화력발전 부른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d4662fb4da044f1a9e1b515c1261f794_T1.png)



![[EE칼럼] 다시 생각해 보는 지속가능발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1.590fec4dfad44888bdce3ed1a0b5760a_T1.jpg)
![[EE칼럼] 기후변화협약의 정치와 과학](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528.6d092154a8d54c28b1ca3c6f0f09a5ab_T1.jpg)

![[이슈&인사이트] 건설안전을 뒤틀리게 할 건설안전특별법안 재고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729.c8f45b397be644c2acafb093d3ca8740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소상공인 정책 엇박자 줄이려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9.a34d9b172cbd41069084d02a4a0da55c_T1.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