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이 지난해 5월 1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약바이오 혁신 포럼’에서 인사말을 하는 모습.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
24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지난 22일 AI 플랫폼 스타트업 ‘아이젠사이언스’와 업무협약을 체결, 항암제 분야 신약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아이젠사이언스는 독자 개발한 AI 플랫폼을 통해 신규 항암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한미약품은 아이젠이 발굴한 후보물질의 평가 및 향후 임상 등을 맡을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GC셀은 AI 개발업체 ‘루닛’과 업무협약을 체결, 루닛의 AI 플랫폼 ‘루닛 스코프’를 활용해 GC셀이 개발 중인 고형암 치료제 ‘AB-201’의 개발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이밖에 SK케미칼은 스탠다임, 심플렉스 등 다수의 국내 AI 신약개발 벤처기업과 공동으로 신약개발을 진행 중이고, 삼진제약은 양자역학 기술을 활용한 AI 신약개발 기업 인세리브로와 AI 신약개발을 진행 중이다. 대웅제약, JW중외제약, 보령 등도 심플렉스, 온코크로스 등과 AI 신약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개발은 주로 초기 후보물질 발굴 단계에서 인공지능을 활용, 기존 후보물질 발굴 소요시간을 수 년에서 수 개월로 대폭 단축시키고 성공률도 높이는 장점을 가진다.
인공지능은 신약 1건당 1만여개에 이르는 후보물질을 탐색하고 추려내는데 시간·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성공 확률도 높일 수 있어 신약 파이프라인 수 및 매출 규모가 글로벌 빅파마(거대 제약사)와 격차가 큰 우리 제약업계가 단기간에 글로벌 빅파마를 따라잡을 수 있는 최고의 해법으로 꼽힌다.
이 때문에 인공지능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IT 스타트업과 임상 데이터 등을 보유한 제약사간 오픈이노베이션이 활발하다.
그러나, 업계는 국내 스타트업의 인공지능 기술이 세계 수준인 만큼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개발이 본격화되면 글로벌 빅파마와의 매출규모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인력확충·투자확대 외에 공공데이터의 복잡한 사용절차, 의료데이터의 접근 어려움 등 빅데이터 활용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AI 신약개발의 잠재력과 과제를 인식하고 최근 AI 신약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융합연구기관 ‘AI신약융합연구원(CAIID)’을 설립했다.
지난 2019년 설립한 AI신약개발지원센터를 확대·격상한 조직으로, AI 신약개발 과제 발굴·기획·집행 사업을 비롯해 전문인력 양성 교육 홍보, AI 신약개발 포럼 및 경진대회 등의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특히, AI신약융합연구원은 오는 4월 시행 예정인 정부의 연합학습(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개인 데이터를 중앙서버에 보내지 않고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하는 기법) 기반 신약개발 프로젝트 ‘K-멜로디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은 물론, 제약기업의 AI 기술 향상, AI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AI 기술이 신약개발의 패러다임을 빠르게 바꾸고 있다"며 "제약바이오협회는 AI신약융합연구원이 AI 기술과 바이오 기술 융합을 통해 혁신신약 개발을 앞당기는 대표적 연구기관이 되도록 모든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