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만 민주진보당 라이칭더 후보가 제16대 대만 총통 선거에서 승리했다(사진=AP/연합) |
13일 치러진 대만 총통 선거(대선)에서 민진당의 라이칭더 후보가 국민당의 허우유이 후보를 제치고 승리하면서 민진당은 차이잉원 정부 8년에 이어 총 12년 연속 집권하게 됐다. 그동안 대만은 국민당과 민진당이 8년씩 번갈아 가면서 집권해왔다.
라이칭더 당선인은 오는 5월 20일 대만 제16대 총통으로 취임한다. 대만 총통 임기는 4년이며 중임할 수 있다.
‘현역 프리미엄’ 덕에 지금까지 총통 중 연임에 실패한 사례가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민진당은 최장 16년간 정권을 쥘 수 있는 전무후무한 역사를 마련할 발판도 마련한 셈이 됐다.
이번 선거에서 대만 민심은 2016·2020년에 이어 또다시 반중 정당을 선택했다. 차이잉원이 2020년 재선에 성공할 때는 "오늘의 홍콩이 내일의 대만이 될 수 있다"는 슬로건이 유권자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2019년 홍콩의 거센 민주화 시위와 이에 대한 중국의 강경 진압을 지켜본 대만 유권자들이 다시 차이잉원을 선택한 것이다.
선거 기간 내내 친중 국민당 후보 당선을 위한 중국 당국의 군사적 위협 및 경제적 압박이 대만 유권자들의 반발을 산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선거 막판에 국민당 마잉주 전 대만 총통이 해외 매체와 인터뷰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믿어야 한다고 발언해 논란을 자초한 것이 결과에 영향을 끼쳤다.
여기에 작년 11월 야권이 승부수로 띄웠던 야권 후보 단일화 합의가 무산된 것도 결정적 요인 중 하나다.
당시 국민당 허우유이 후보와 중도 제2야당 민중당 커원저 후보는 총통 후보를 단일화하기로 합의했으나 끝내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자 단일화 합의는 없던 일이 됐다.
최종 개표 결과 라이 후보와 허우 후보간 표차가 100만 표가 안됐지만, 커 후보가 360만표 넘게 얻었다는 점에서 두 당은 집권할 기회를 스스로 차버린 셈이다. 허우 후보와 커 후보가 선거에서 얻은 표는 약 830만 표로 라이 후보의 약 560만 표보다 약 270만표 가량 많았다.
라이 후보가 당선되면서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는 물론 미중 관계에도 격랑이 예상된다. 라이 당선인은 현재 차이잉원 총통보다 더 강경파로 분류되는 만큼 대만해협을 둘러싼 양안 긴장 수위는 차이잉원 집권 8년 기간보다 더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라이 당선인은 또 당선시 중국과 협력하겠다면서도 "차이 총통의 안정적·실용적이며 일관된 양안 정책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언급, 현재의 대중 기조를 수정할 의사가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 때문에 중국이 빠른 시일 내에 보복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특히 중국의 경우 대만 선거에 노골적으로 개입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원치 않은 결과가 나왔다.
이에 취임식이 치러지는 오는 5월 20일까지 중국이 군사훈련 등을 명분으로 한 대규모 무력시위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 경제적 타격을 노리고 세금 감면 중단, 특정 제품 수입 중단 등의 보다 더 강력한 경제 제재에 나설 것으로도 보인다.
대만과 미국간 협력 관계가 더 공고해지면서 향후 대만해협 등을 둘러싼 미중 갈등의 파고가 더 높아질 전망이다. 미국이 국제적으로 중요한 수송로인 대만해협과 서태평양에서의 패권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는 신호를 국제사회에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미중은 지난해 11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 이후 ‘관리 모드’로 돌입하 바 있어 미중 관계를 다시 이전의 첨예한 갈등 상태로 되돌리지 않으려고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이미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전 까지 ‘두 개의 전쟁’을 치르고 있고 최근 예멘 후티 반군에 대한 공습으로 중동 확전설까지 나도는 상황에서 대중 관계까지 악화일로로 치달을 경우, 11월 대선 가도에 작지 않은 악재가 될 수 있다.
시 주석으로서도 중국 경제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과 또다시 가파른 대립각을 세우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
이번 대만 선거 결과로 한국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민진당의 친미 노선을 감안할 때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 TSMC를 비롯한 대만 반도체 사업을 미국과 협력을 가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해외 시장에서 TSMC와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경쟁이 더 치열해질 가능성으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