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강현창

khc@ekn.kr

강현창기자 기사모음




OPEC플러스 추가 감산…"실제 효과 없다" [삼성선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2.01 08:54
clip20231201085415

▲사진=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강현창 기자]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非)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가 원유 생산량을 추가 감산키로 합의했지만 기대는 적다는 금융투자업계의 분석이 나온다.

김광래 삼성선물 수석연구원은 1일 보고서를 통해 "시장이 실망할 수 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는 내년부터 실제 감산 효과가 매우 적기 때문"이라며 "이라크는 현재 쿠르드자치족과 터키와의 분쟁으로 이미 생산량이 30만bpd 이상 감소했고 러시아가 약속한 20만bpd는 생산량이 아닌 수출량 감축이며 이마저도 원유가 아닌 석유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UAE는 내년부터 약속받은 20만bpd 생산 목표 상향을 포기하지 않아 실제로는 감산도 아니다"며 "쿠웨이트는 이미 수개월전부터 약속한 수준 목표를 하회해 생산 중이고 카자흐스탄은 고질적으로 전력 관련 이슈로 생산량이 이미 줄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알제리와 오만 또한 합의한 규모 이상으로 생산량이 감소한지 오래라는 점에서 90만bpd의 추가 감산 중에 실제 시장의 공급에 영향을 줄만한 ‘자발적 추가 감산’ 규모는 없다"고 진단했다.

실제 전일 유가는 유가는 OPEC플러스 회의 결과에 실망해 하락 마감했다. 3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내년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 종가는 배럴당 75.96달러로 전날 종가 대비 1.90달러(2.4%) 하락했다.

이어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내년 1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도 전 거래일 종가 대비 2.02달러(2.4%) 내린 배럴당 80.86달러로 마감했다.

이에 대해 김 연구원은 "이제 OPEC 국가들은 각자 도생을 길을 적극적으로 고민하며 최대한 자국에 이익이 되는 액션들을 취하기 시작할 것"이라며 "사우디의 추가적인 노력이 없고 이번 ㅇOPEC플러스 결과도 자발적인 개별 감산 약속에 불과한데다 뚜렷한 추가 감산 효과 마저도 기대하기 어려운 점이 유가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고 덧붙였다.
kh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