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영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본부장(왼쪽부터), 신창호 부산시 디지털경제혁신실장, 소유섭 SK E&S 부사장, 박희준 한국가스안전공사 연구원장이 21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3 국제수소에너지컨펙스’에서 ‘액화수소 분야 핵심 기자재 및 시스템 국산화 달성과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SK E&S(대표이사 사장 추형욱)는 21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3 국제수소에너지컨펙스’에서 부산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가스안전공사와 함께 ‘액화수소 분야 핵심 기자재 및 시스템 국산화 달성과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부산시가 주최하는 ‘2023 국제수소에너지컨펙스’는 국내·외 수소기업 및 유관단체들이 참여하는 국제회의다. 21일부터 이틀간 부산 벡스코에서 수소경제를 주제로 다양한 전시 및 세미나가 진행된다.
이날 협약식에는 신창호 부산시 디지털경제혁신실장, 소유섭 SK E&S 수소사업개발그룹장(부사장), 이영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동남지역 본부장, 박희준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장이 참석했다.
SK E&S에 따르면 현재 액화수소 관련 핵심기술과 기자재 시장은 해외 업체가 선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부터 국내에 액화수소 생산시설이 들어서게 되면서 국내 기업들의 기술수준도 점점 높아지는 추세다.
SK E&S의 경우 최대 연 3만톤 규모의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기술력을 갖춘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협력하며 ‘액화수소 탱크’ 등 관련 핵심기술 및 노하우를 함께 축척해 왔다.
SK E&S는 이를 부산지역 중소·중견기업들과 공유해 핵심 기술의 국산화를 돕고, 향후 부산지역에 들어설 액화수소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에 지역 업체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부산지역에는 액화천연가스(LNG) 저장시설, 탱크 등을 제작하는 강소기업이 다수 존재한다. 이들 기업이 액화수소 분야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할 경우 매출 증대와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부산시는 액화수소 분야기술개발 기업들에게 정책지원 및 협력과제 발굴 등을 지원한다.
생산기술연구원은 지역 특화산업의 연구개발 및 인프라를 돕는다.
가스안전공사는 지역 기업의 기술 신뢰도 검증을 위한 인증 및 표준화에 나선다.
신창호 부산시 디지털경제혁신실장은 "부산시는 2021년 부산수소동맹 출범 이후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속해오고 있다"면서 "이번 협약을 계기로 부산지역이 액화수소 부품산업을 이끌어가는 주요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SK E&S 소유섭 부사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미래 에너지원인 수소와 관련된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해 수소 인프라의 국산화를 추진하겠다"며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SK E&S는 지난해 부산시와 함께 2025년까지 수소버스 1000대를 도입하는 내용의 민관 협력 ‘친환경 수소첨단도시 부산’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하고, 부산시의 수소 생태계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youn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