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음달 19일 결선투표에서 승부를 가리게 된 여당의 세르히오 마사(왼쪽) 후보와 극우 성향 하비에르 밀레이 후보(사진=AFP/연합) |
연합뉴스에 따르면 현 경제 장관인 집권여당의 마사 후보는 이날 97.98% 개표를 완료한 가운데 36.64%를 득표해 1위에 올랐다. 밀레이 후보는 30.0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누구도 당선 확정 요건은 채우지 못한 가운데 마사 후보와 밀레이 후보는 다음 달 19일 결선에서 아르헨티나 대권을 놓고 건곤일척의 승부를 가리게 됐다.
아르헨티나 대선에서는 1차 투표에서 한 후보가 45% 이상 득표하거나, 혹은 40% 이상 득표하고 득표율에서 2위에 10%포인트 이상 앞서면 바로 당선이 확정된다.
이날 개표 결과는 그간의 여론조사 흐름을 토대로 현지 언론매체와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것과는 상당 정도 벗어난 것이다.
지난 8월 예비선거에서 1위에 오른 밀레이 후보는 최근까지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서 당선을 확정 짓거나 1위로 결선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돼 왔다.
이에 따라 오는 11월 19일 결선투표도 현재로서는 예측 불허의 분위기로 흘러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위기 책임론’으로 어려움을 겪어온 마사 후보는 ‘결선 진출’이라는 목표를 넘어 1위에 오르면서 강력한 지지세를 확인하는 저력을 과시한 만큼 결선투표까지 이 여세를 몰아 승리굳히기에 들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그는 아르헨티나 현대 정치사를 지배한 ‘페론주의’(후안 도밍고 페론 전 대통령을 계승한 정치 이념) 정치인으로 분류된다.
마사 후보는 기존 페론주의 정치인들이 내치에 무게 중심을 두려 하던 것과는 약간 결이 다르게 미국·중국·브라질 등 주요국과 쌓은 스킨십을 정치적 자산으로 홍보하고 있다. 공격적인 달러 비축량 늘리기를 통한 외환 위기 경감, 외채 협상 재조정, 일자리 창출을 통한 빈곤층 감소 등이 마사 후보의 주요 공약이다.
반면, 아르헨티나 페소화를 달러로 대체하는 달러화 도입, 중앙은행 폐쇄, 장기 매매 허용 등 다소 과격한 공약으로 눈길을 사로잡았던 밀레이 후보는 자신의 공약에 대한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실현 가능성을 설득하면서 다시 도전자의 입장에서 결선 투표에서 극적인 재역전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선 투표까지 남은 4주 동안 마사 후보와 밀레이 후보는 각각 결선에 오르지 못한 다른 3명 후보 지지층을 상대로 적극적인 표심 공략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두 후보에겐 뒤졌지만 23%대의 높은 득표율을 보인 3위 불리치 후보 지지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두 후보는 안간힘을 쓸 것으로 라나시온과 클라린 등 현지 매체들은 전망했다.
이
최근 중남미 주요국에 좌파 정권이 들어서면서 생긴 온건 좌파 물결(핑크타이드)이 이번 아르헨티나 대선 이후에도 이어질지 관심사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지난 십수년간 좌파 성향 정권이 득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