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지용 HD현대일렉트릭 책임매니저 |
![]() |
▲HD현대일렉트릭 관계자들이 솔루션 통합관제 시스템 인티그릭을 소개하고 있다. |
HD현대일렉트릭은 HD현대의 전력기기 및 에너지솔루션 계열사로, 전력을 전달하는 송전망에 필요한 설비인 변압기와 차단기를 제조하는 회사다. 올해 초 독자 기술로 개발한 170kV 친환경 고압차단기(GIS)와 다수의 팩토리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FEMS)을 연계한 컴플렉스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CEMS) 등의 기술이 ‘CES 2023 혁신상’을 받았다. 지난달 사우디아라비아 기업과 약 678억원 규모의 전력기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해 주목을 받았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7개 산업단지를 스마트그린산단 조성지로 선정했는데, HD현대일렉트릭은 이중 국내 최대 규모의 산업단지인 반월시화산단에 에너지 자급자족형 인프라를 구축하고, 산단 내 입주 기업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지원한다.
이지용 HD현대일렉트릭 책임매니저는 지난 19일 경기도 판교 HD현대일렉트릭 사옥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국내 제조사들의 수익성과 제조원가에서 전기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볼 때 효율성 향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영업이익을 내지 못하는 곳이 많아질 수 있다"며 "산단 내 입주 기업은 총괄 관제 뿐 아니라 에너지저장장치(ESS)·연료전지·전기차 충전 모니터링도 가능하다. 참여하는 기업이 많아질수록 더욱 합리적인 가격으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올해 2분기 12억3200만달러를 수주했고, 상반기 누적 수주금액은 20억달러에 달한다. 회사의 올해 2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9% 늘어난 6425억원, 같은기간 영업이익은 116.2% 늘어난 588억원이다.
이 책임매니저는 "클라우드 기반의 솔루션은 이상감지와 피크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면서 "특히 운영서버·네트워크·스토리지를 일원화해 보안시스템도 일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화재 등에 따라 화두로 떠오른 백업관리 및 데이터 이중화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이 플랫폼을 앞세워 해외 진출도 강화할 방침이다. 베트남의 경우 국내 기업들의 사업장이 많고 역내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점을 주목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지역 업체를 활용해 분산에너지 사업도 전개할 것으로 보인다. 발전사업에 치중한 현지 시장에서 변압기·차단기를 비롯한 하드웨어를 포함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책임매니저는 "연간 단위로 몇 차례만 피크를 넘기지 않으면 비용 감소에 도움이 된다는 점이 기업들에게 알려지면서 이 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면서 "향후 수요관리(DR) 시장에 진출할 예정으로, HD현대일렉트릭이 에너지 관리 전문가의 역할을 맡겠다"고 강조했다.
spero122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