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전자. |
11일 삼성전자는 공시를 통해 3분기 잠정 연결 매출액이 67조원, 영업이익은 2조4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2.7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77.88% 줄었으나 증권가 추정치를 상회하는 ‘깜짝 실적’을 냈다.
이날 부문별 세부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이 3조~4조원대 규모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DS 사업부는 상반기에만 9조원에 달하는 적자를 냈다. 1분기 4조5800억원, 2분기 4조3600억원으로, 총 8조9400억원 규모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다만 이번 3분기에는 1·2분기에 비해 적자폭이 감소했을 것이라는 추정이 우세하다.
![]() |
D램 시장 역시 DDR5, 고대역폭메모리(HBM)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D램 고정거래가격도 지난달 하락세를 멈췄다. 낸드플래시는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라면 내년 10조원 이상 흑자 전환 가능성도 고개를 든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메모리 반도체 재고 건전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고객사 입장에서 삼성전자의 감산 정책이 반도체 구매 심리를 변화시키고 있다"며 "4분기부터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수급 개선과 가격 상승이 동시에 나타날 전망"이라고 전했다.
DS 부문의 적자는 계속됐으나 모바일경험(MX) 부문과 삼성디스플레이(SDC) 부문이 삼성전자의 깜짝 실적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MX 부문은 폴더블폰인 갤럭시Z 플립5 등 최신 스마트폰 판매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갤럭시S23 FE(펜에디션)모델을 공개하기도 했다.
SDC 부문은 스마트폰 갤럭시Z5 시리즈 출시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판매량이 전분기 보다 17% 증가했다. 3분기 디스플레이는 영업이익 1조6000억원으로 전분기 보다 92% 증가가 전망된다.
생활가전(DX) 부문은 하반기 성수기 진입에 따라 3분기 TV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마케팅 비용 증가에 따라 영업이익 6000억원으로 전분기 보다 13% 감소할 전망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오는 31일 오전 10시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투자자들과의 소통 강화 및 이해 제고 차원에서 경영 현황 등에 대한 문의사항을 사전에 접수해 답변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