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DGB금융 차기 회장 선정 다음주 시작...서호성 케이뱅크 행장은 연임 기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9.19 17:15

김태오 DGB금융 회장 내년 3월까지 임기

25일 회추위 개시…나이제한에 새 회장 선출 가능성



서호성 행장 12월 임기 만료 앞둬

경영성과 우수하지만 변수도 존재

케이뱅크, 작년 기준 후보군 7명 관리

2023091901001129500054191

▲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DGB금융지주의 차기 회장 선출 과정이 다음 주 시작된다. 김태오 DGB금융 회장 임기는 내년 3월까지다.

인터넷전문은행 중 케이뱅크의 서호성 행장 임기도 오는 12월 마무리된다. 올해 초 카카오뱅크의 윤호영 대표가 연임에 성공하며 카카오뱅크 수장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서호성 대표도 연임에 성공할 지 주목된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DGB금융은 오는 25일 회장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차기 회장 선출 절차를 시작할 예정이다. 김태오 회장 임기는 내년 3월 마무리된다.

DGB금융은 회장의 임기 만료 6개월을 앞두고 회추위를 시작한다. 약 3∼4개월 전 회추위를 여는 다른 금융지주사 대비 개시일이 빠른 편이다. DGB금융 관계자는 "구체적인 일정은 지켜봐야겠지만 회추위가 꽤 오래 열려 6개월 동안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2018년 5월 DGB금융 회장 자리에 오른 후 2021년 3월 연임에 성공했다. 이번에도 연임을 하면 3연임을 하게 된다.

단 DGB금융은 지배구조 내부규범에서 회장 연령을 만 67세로 제한하고 있는데 1954년 11월생인 김 회장은 현재 만 68세로 재선임이 불가능하다. 김 회장이 연임을 하려면 내부규범을 수정해야 하는데, 이는 시간도 걸리는 데다 연임을 위한 행보로 읽혀 부담이 커질 수 있다.

금융당국은 금융지주 회장의 연임 가도에 제동을 걸고 있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지난해부터 진행된 신한·NH농협·우리·KB금융지주 회장 선출 과정에서 4개 금융지주의 모든 회장이 물러나고 새로운 회장을 맞이하며 세대교체가 이뤄졌다.

DGB금융은 지난해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에서 지난해 말 기준 총 2명의 기본 후보군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모두 내부 후보군으로 이뤄져 있다. 단 이들은 회장 후보자 자격요건을 충족한 이들로, 회추위가 가동되면 후보군이 늘어날 것으로 DGB금융은 전망했다. 예비 후보군을 포함해 외부 후보 추천을 받을 경우 약 20명 정도의 롱리스크가 꾸려질 것으로 예상된다.

DGB금융도 김 회장이 물러나고 새 회장을 선임하게 되면 지난해부터 임기가 만료된 금융지주 회장이 전부 교체가 된다.

2023091901001129500054192

▲서호성 케이뱅크 행장.


이와 함께 12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서호성 케이뱅크 행장의 거취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서 행장은 이문환 전 행장이 갑작스럽게 사퇴를 한 후 2021년 2월 선임돼 현재까지 케이뱅크를 이끌고 있다.

서 행장은 당시 KT출신이 아닌 비KT출신 인물로 케이뱅크 행장으로 선임돼 주목을 받았다. 서 행장은 경영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서 행장이 취임한 후 케이뱅크는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실적도 크게 개선됐다.

단 IPO(기업공개)가 연기되며 계획대로 이뤄지지 못했고, KT 회장이 바뀌면서 그룹사 수장 교체 바람이 불 수 있다는 점이 변수로 작용한다.

케이뱅크의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일정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케이뱅크는 지배구조 내부규범에서 최고경영자(CEO) 선임을 위한 주주총회 소집통지일 최소 30일 전 임추위를 열고 경영승계 절차를 시작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케이뱅크의 지난해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를 보면 케이뱅크 임추위는 지난해 11월 CEO 상시후보군을 총 7인으로 구성해 관리하고 있다. 케이뱅크는 기존 후보군을 대상으로 자격요건을 재검증 한 후 필요할 경우 외부 후보군을 추가해 롱리스크를 확정할 계획이다.

앞서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가 올해 4연임에 성공하면서 인터넷은행은 금융지주사 대비 리더십 교체 압박에서 다시 떨어져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금융지주사의 경우 당국으로부터의 수장 교체 압박이 있는데, 인터넷은행은 인터넷은행의 특수성상 시중의 금융사 대비 금융당국의 직접적인 압박은 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