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자살 시도자 상담·치료 받을 시 자살위험 60% 감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31 16:48
응급실 (PG)

▲응급실 (PG).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자살을 시도했던 사람이 상담·치료 등의 서비스를 받을 경우 자살위험이 6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발표한 2022년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결과에 따르면 전반적 자살위험도가 높은 사람의 비율은 서비스 전과 후로 각 15.6%와 6.5%를 기록해 약 60% 가량 줄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은 18.8%포인트(p), 불안·초조를 느끼는 사람은 10.0%p, 자살사고 11.4%p,충동성을 느끼는 사람은 12.0%p 감소하는 등 자살위험요인이 전반적으로 줄었다.

자살을 한 번이라도 시도한 적이 있는 자살시도자의 자살위험은 일반인보다 25배 이상 높았다. 작년 총 80개 병원을 찾은 자살시도자 2만6538명을 대상으로 보면 여성 자살시도자는 전체의 65.2%(1만7294명)로 남성(9244명)보다 2배에 가까웠다.

주요 자살위험요인 변화

▲주요 자살위험요인 변화.

연령대별로는 20대가 27.9%(7400명), 10대 16.5%(4368명), 30대 13.6%(3607명) 순으로 많았다. 자살시도자 10명 중 9명은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했으며 성·연령대에 따른 충동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자살시도 동기로는 정신적문제(38.1%), 대인관계(18.9%), 말다툼(10.3%), 경제적 문제(6.6%) 등이 꼽혔다.

사업이 진행된 지난 10년간 응급실 내원자 수는 15배(1721명→2만6538명) 이상 증가했고 지역사회로 연계돼 지속적으로 관리받는 자살시도자도 32배(135명→4341명) 이상 늘었다.

한편, 정부는 자살시도자가 자살을 재시도하는 것을 막고자 지난 2013년부터 지역사회 응급의료기관과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연계해 자살시도자에게 정신과적 치료와 퇴원 후 최소 1개월 이상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업 기관은 이달 기준 전국 85곳이다.
axkj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