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RE100(한국형 RE100) 로고. |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회원모집 가입제도인 ‘RE100 이니셔티브’를 만들어 가입한 회원사들이 2050년까지 RE100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중소·중견기업은 대기업처럼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대규모로 투자하기 어렵고 단독으로 RE100 대응전략을 마련할 인력을 운영하기 어렵다 보니 따로 지원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28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재단법인 기업재생에너지재단은 한국에너지공단의 ‘한국형 RE100 이니셔티브 구성 및 지속가능한 운영방안 마련 연구’를 주제로 한 연구용역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했다.
기업재생에너지재단은 보고서에 "현재 RE100은 대기업에서 주로 준비하고 있지만 대기업의 납품업체 등 영세기업에까지 동참 압력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중소·중견기업은 대기업과 달리 독자적으로 RE100 대응전략 수립 및 이행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제조업에 속하는 중소기업의 경우 RE100 대응을 위한 전담인력 운용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시설투자 재원이 충분치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기업재생에너지재단에서 올해 1월 기업 214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84개 중 75%(63개)가 중소·중견기업 대상 RE100 이니셔티브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재단은 중소·중견기업 RE100 이니셔티브 주요 구상 방안에 대해 2050년 RE100 달성을 목표로 RE100 가입과 이행을 지원하는 것을 제안했다.
구체적인 계획으로는 중소·중견기업들이 RE100 전략을 공유하는 장을 마련, 가입사들의 RE100 이행실적과 주요 장애요인 등을 집계해 통계 발표, 재생에너지 이행 로드맵 수립, 의견 수렴 및 정책 개선요구 등을 지원한다.
기업재생에너지재단은 중소·중견기업들이 비용 부담을 덜 만한 RE100 이행방안으로 산업단지 인근이나 지붕에 설치하는 태양광 발전소를 꼽았다.
중소기업 여러 곳이 모여 한 명의 산업단지 태양광 발전사업자와 일대다 형태로 전력구매계약을 맺는 방식이다.
보고서에서 재단은 "그동안의 산업단지 내 태양광 발전은 개별기업 중심의 사업으로 추진돼왔다. 그러나 낮은 임대수익과 발전설비 설치에 따른 문제 발생 등으로 기업들 참여가 저조했다"며 "개별 기업이 아닌 단체계약 중심의 대형 재생에너지 발전소 유치와 전력구입을 하면 이러한 애로사항을 해소할 수 있다. 산업단지 태양광은 대규모의 재생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는 중소기업들이 일대다 형태로 계약을 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한 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기업재생에너지재단 관계자는 "실제로 중소·중견기업들이 RE100 달성을 위해 (지원이) 필요하다고 이야기가 계속 나오고 있다"고 보고서 작성 배경에 대해 밝혔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