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로이터/연합) |
연합뉴스가 인용한 18일 유럽연합(EU) 통계청인 유로스탯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파산을 신청한 사업체는 전분기 대비 8.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규 사업체 등록은 0.6% 감소했다.
2분기 파산 기업 규모는 2015년 전체를 100으로 봤을 때 105.7을 기록했다. 분기별 파산 기업 규모 지수가 100을 넘긴 것은 2015년 1분기(105.5) 이후 처음이다.
숙박, 요식, 운송 등 업계가 특히 큰 타격을 입은 가운데 유럽 경제의 모든 부문에서 파산 신청이 늘어났다고 유로스탯은 설명했다.
국가별로 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영향을 받은 동유럽과 발트해 국가들이 부도 상위권을 차지했다.
헝가리는 파산 증가 폭이 41%에 이르며 1위에 올랐다.
경제학자들은 경제 상황 혼란,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금조달 비용 증가 등 요소의 조합이 지난 수년간 부실기업의 생존에 도움을 준 정부 지원이 종료되는 것과 맞물리는 것을 경고하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7일(현지시간) 전했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전부터 어려움을 겪던 기업들이 최근 경제 상황 악화로 더욱 곤경에 처하게 됐다는 지적이다.
독일의 파산관재인전문협회를 이끄는 크리스토프 니링은 "시장이 흔들리는 것을 목도하고 있다"며 "팬데믹 및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정부의 생명연장 조치가 가동돼왔으나, 이제 천천히 파괴가 시작되고 있다"고 말했다.
EU 경제에서 최대 비중을 차지하는 독일에서도 대형 백화점 체인 갤러리아가 올해 초 국내 100개 이상의 점포를 폐점하는 등 구조조정안을 당국에 제출해 승인받았고, 유통업체 게리 베버의 독일 법인도 171개 점포 중 122개를 문 닫을 계획이다.
뮌헨의 IFO 경제연구소는 지난달 독일 기업 신뢰지수가 3개월 연속 하락했으며, 현 경영상태에 실망한 기업인들이 미래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있다며 "독일 경제의 상황은 점점 더 어두워지고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다만 학계 일각에서는 파산 급등세에도 불구하고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같은 수준에는 미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