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5년간(2018~2022년) 월별, 전세버스 교통사고 건수 |
2020년, 2021년 전세버스 교통사고는 각각 661건, 767건으로 급감했다.
월별로 살펴보면 전세버스 교통사고는 주로 단체 장거리 이동이 증가하는 휴가철, 행락철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발생한 전세버스 교통사고 4893건 중 약 38%(1854건)가 여름 휴가철에서 가을 행락철로 이어지는 8월~11월에 발생했다.
전세버스 운전 시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고 줄지어 운전하는 대열운행의 경우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지기 쉬워 ‘대열운행 금지’와 ‘앞 차량과의 안전거리’를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
또 장거리 운행 시 휴게소, 졸음쉼터 등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세버스 탑승객들은 안전띠를 착용해야 하며, 음주 가무 행위는 교통사고 시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전세버스는 많은 인원이 탑승하기 때문에 교통사고 시 더 많은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다. 휴가철, 행락철에 걸쳐 전세버스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운전자 및 탑승자 모두의 교통안전 의식이 각별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ess00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