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美 연준, "인플레이션 상승 리스크 지속…추가 금리인상 필요할 수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17 09:02
2023081701000878300042401

▲제롬 파월 연준의장(사진=A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지난달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대부분의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 우려에 추가 금리인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16일(현지시간) 공개된 7월 FOMC 의사록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장기 목표를 크게 웃돌고 노동시장은 여전히 빡빡한 상황에서 대부분(most)의 참석자들은 인플레이션의 상당한 상방 리스크를 지속적으로 목격하고 있다"며 "이는 통화정책의 추가 긴축이 요구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의사록은 또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기 위해 통화긴축을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에버코어 ISI의 이코노미스트들은 "7월 FOMC 의사록은 연준이 예상하는 것보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더 빠르게 둔화하면서 경제 지표가 강력한 데 따른 갈등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연준은 지난달 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5.25~5.5%로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22년만 최고 수준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데이터가 뒷받침된다면 기준금리를 9월 회의에서 다시 올리는 것도 틀림없이 가능한 일"이라면서도 "기준금리 유지를 선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7월 이후 기준금리를 더 이상 올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연준은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꾸준히 열어두고 있다는 점을 7월 FOMC 의사록을 통해 나타난 것이다.

다만 연준의 긴축 정책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각도 제기됐다. 의사록은 "참석자들은 과거 통화긴축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이 있다고 지목했다"고 전했다.

의사록은 또 "복수의 참석자들은 통화정책 기조가 긴축 영역에 있는 상황에서 연준의 목표 달성에 수반되는 리스크가 두 방향으로 갈라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과도한 긴축으로 인한 위험과 불충분한 긴축에 따른 비용 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참석자 두명은 7월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거나 이를 지지하는 쪽을 선호했다고 의사록은 덧붙였다.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두고 연준 내부에서 균열이 더욱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실제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지난 8일 "지금부터 9월 중순까지 놀라운 새 지표가 없다면 인내심을 갖고 현재 금리를 유지하면서 지금까지 취한 통화정책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지점에 도달했다"라며 추가 인상에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한 바 있다.

반면 매파로 분류되는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15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여전히 "너무 높다"면서 금리 인상 종료를 선언하기에는 이르다는 상반된 입장을 내비쳤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