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중소도시 대도시보다 폭염 증가속도 빨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16 14:15
태양을 피하는 방법

▲서울 경복궁을 찾은 관광객이 양산으로 햇볕을 피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중소도시 폭염 증가세가 대도시보다 가파르다는 기상청 분석이 나왔다.



□ 도시별 기온상승량 (단위: 도/10년, %)

도시 규모 도시 비도시
도시 평균 대도시 중소도시
전체 기온 상승량
(도/10년)
0.37 0.36 0.38 0.23
도시화 효과에 의한 기온 상승 추정치*
(도/10년)
0.09~0.18 0.08~0.17 0.11~0.19 -
전체 기온 상승량에 대한 도시화 효과의 기여도
(%)
24~49 22~47 29~50 -
자료= 기상청



기상청은 국내 16개 도시를 비롯해 30개 지역 기온과 폭염일(일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을 비교한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결과를 보면 인구 100만명 이상 대도시 8곳(서울·부산·인천·대구·대전·광주·수원·울산)과 인구 30만명 이상 중소도시 8곳(청주·천안·전주·포항·제주·구미·진주·원주) 등 도시 16곳은 지난 48년(1973~2020년)간 연평균기온이 10년마다 0.37도씩 상승했다.

도시화에 의한 기온 상승분은 0.09~0.18도로 기온상승에 도시화가 기여한 정도는 24~49%로 추산됐다. 이런 도시화 기온상승 기여도는 ‘도시 평균기온과 시골 평균기온 차’, ‘경험적 직교 함수(EOF)를 이용한 추정’, ‘관측자료에는 도시화 효과가 포함됐다고 가정하고 재분석자료와 비교’ 등을 통해 산출됐다.

대도시와 중소도시를 비교하면 대도시는 연평균기온이 10년마다 0.36도 올랐는데 중소도시는 0.38도로 상승 폭이 컸다.

도시화에 의한 기온 상승분은 대도시가 0.08~0.17도(전체 기온 상승분의 22~47%), 중소도시가 0.11~0.19도(29~50%)로 분석됐다.

폭염일의 경우 대도시는 10년마다 1.6일, 중소도시는 1.8일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상관측소 사이 거리가 50㎞ 이하인 인접 도시를 비교하면 대도시와 중소도시 차이가 더 뚜렷이 드러났다.

예컨대 대전은 폭염일이 10년마다 1.1일 증가했지만, 청주는 1.7일 늘었다.

대전 폭염일은 1973~1996년 연평균 11.8일에서 1997~2020년 연평균 11.3일로 감소했는데 청주는 13.7일에서 13.8일로 많아졌다.

기상청은 "대도시에 사는 인구 비율은 1990년대 약 52%로 고점을 찍은 뒤 다소 감소했지만 중소도시 인구 비율은 최근에야 31%로 최고점을 기록했다"라면서 "1990년대 이후 성장이 정체한 대도시와 달리 중소도시는 최근까지 성장을 지속한 점이 기온 상승세와 폭염 증가세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wonhee454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