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이 자국민의 한국 단체여행을 허용하기로 함에 따라 국내 여행·호텔·면세업계의 기대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11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면세점 명동본점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입장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연합) |
13일 업계에 따르면 모두투어는 호텔, 쇼핑센터, 식당 등 국내 관광 인프라를 점검하고 중국어 가이드를 더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한국관광공사,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업해 지역 특화 여행상품을 개발 중이다.
롯데관광개발은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의 카지노 직원 400명을 추가로 채용할 예정이다.
또 중국인 관광객들이 리조트 내 그랜드 하얏트 제주 14개 전체 식음업장에서 중국어(간체자, 번체자)로 주문할 수 있도록 테이블 오더링 시스템을 전면 교체했고, 관광객들이 밤 시간을 더 즐길 수 있도록 일부 업장의 운영 시간을 자정 이후로 연장했다.
롯데호텔앤리조트는 기업간 거래(B2B) 단계에서 수요를 진작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롯데호텔 서울의 경우 판촉 조직에 중국인 직원을 배치하는 등 친(親)유커 정책을 수립한다.
호텔신라도 중국 현지 사무소를 통해 중국 내 마케팅 활동을 강화한다. 파라다이스는 고객 유치를 위한 여행 상품을 개발하고 K-컬처 이벤트를 개최한다.
중국이 자국민의 한국 단체관광을 전면 허용한 것은 지난 2017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 이후 6년여만이다.
여행업계에서는 지난 6년여간 중국인의 단체관광이 제한된 데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업계의 침체기가 이어지면서 인프라 마련에 더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팬데믹 시기 중저가 호텔이 많이 폐업했고 단체 손님을 받을 식당 다수가 문을 닫은 데다, 대형면허를 소지한 기사들의 전직으로 당장 운행할 전세버스도 부족한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 |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행 단체관광 빗장이 풀린다는 소식으로 제주 관광업계 기대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11일 오후 제주 신라면세점 제주 토산품 판매대에 중국인 개별관광객들이 쇼핑하고 있다. (사진=연합) |
KGC인삼공사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 여행 재개에 맞춰 면세점 전용 신제품을 출시하고, 연내 중국인을 위한 신제품을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KGC인삼공사의 면세점 연 매출은 사드 사태 이전에는 3000억원대였으나, 중국인 단체관광 제한과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작년에는 600억원대로 감소했다.
생활가전기업 쿠쿠는 면세점을 중심으로 중국어 음성 지원과 중국어 디스플레이를 갖춘 모델 판매를 강화하고, 면세점 입점과 사업 영역을 확대한다. 또 전국 쿠쿠 매장 중 중국인이 자주 방문하는 매장에는 중국어로 된 안내판을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