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3~4일 증권사, 보험사 등 전 금융권역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자금 관리 내역을 점검해 보고하라는 공문을 발송했다. |
[에너지경제신문=박경현 기자] BNK경남은행에서 수백억원 규모의 횡령사고가 터지자 금융당국이 전 금융권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 관리 내역을 들여다보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3~4일 증권사, 보험사, 캐피탈사, 상호금융권 등 전 금융권역에 PF대출 자금 관리 내역을 점검해 보고하라는 공문을 발송했다. 금감원은 지난 2일에도 모든 은행을 대상으로 PF대출 긴급 점검을 지시한 바 있다.
PF대출은 자금 규모가 크고 복잡한 데다 사업장 공정률에 따라 여러 차례에 걸쳐 나눠 집행되는 구조로 인해 거액의 횡령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이번 긴급 점검에는 감독 사각지대로 여겨져 온 새마을금고도 포함됐다.
새마을금고 감독 권한은 행정안전부에 속해있어 전 금융권 대상 일제 점검에서 제외돼 왔으나 상당 규모의 부동산PF 성격의 대출을 취급 중인 만큼 사고 가능성을 함께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PF대출 과정에서 잇단 횡령사고가 났던 저축은행도 집중 점검 대상에 오를 전망이다. 저축은행은 지난해 KB저축은행(94억원), 모아저축은행(59억원), 한국투자저축은행(8억원) 등 PF 대출 관련 횡령이 나타나며 논란에 오른 바 있다.
금감원은 캐피탈과 상호금융권에도 PF대출 관련 부정행위를 막을 수 있는 구체적 지침을 만들라는 지시를 내렸다. 저축은행권이 마련한 PF 대출 관련 내부통제 강화 지침과 유사한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근 PF대출이 부실화하면서 그간 은폐됐던 부실이 추가로 드러날 가능성도 나온다. 이번 경남은행 562억원 규모 횡령 사고에서도 해당 직원은 이미 부실화된 PF 대출에서 상환된 대출 원리금을 가족 계좌 등으로 빼돌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렇게 횡령한 금액은 77억9000만원이다.
pearl@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