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드고릴라가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출시 신용카드 분석 데이터’ 자료. |
3일 신용카드 플랫폼 카드고릴라는 ‘2023년 상반기 출시 신용카드 분석 데이터’를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연회비 증가는 지난해보다 카드사들의 프리미엄카드 출시가 많아짐에 따라 평균 연회비가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8개 카드사(신한·KB국민·삼성·롯데·현대·하나·우리·BC카드)의 연회비 수익은 31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다.
연회비 10만원 이상인 신규 신용카드는 지난해 7종이었지만 올해 상반기 10종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출시된 프리미엄카드의 연회비가 10만~50만원이었다면 올 상반기 출시된 프리미엄카드의 연회비는 주로 20만원대에서 80만원대까지 분포하고 있다. 프리미엄카드를 가장 많이 출시한 카드사는 올 초 신규 프리미엄 라인업 ‘헤리티지’를 런칭한 KB국민카드로 ‘헤리티지 스마트(할인형·대한항공 마일리지형)’, ‘헤리티지 리저브(포인트형·스카이패스형)’ 등을 출시했다.
한편 상반기 신규 신용카드 중 가장 많은 혜택 제공 형태는 ’할인·캐시백‘형으로 10종 중 6종(59.3%, 35종)에 달했다. 적립형 카드의 경우 20종(33.9%)이었으며 마일리지형 카드는 4종(6.8%)에 그쳤다.
가장 많이 탑재된 국제브랜드는 ’마스터카드‘로 올 상반기 출시된 주요 신용카드 59종 중 34종(57.6%)이 마스터카드 브랜드로 출시됐다. ’비자‘ 브랜드는 24종(40.7%), ’아멕스‘ 브랜드는 8종(13.6%), JCB와 유니온페이(UnionPay)는 각 2종(3.4%)의 카드에 탑재됐다.
고승훈 카드고릴라 대표는 "가치 소비, 나를 위한 맞춤 소비 등이 유행하고 쇼핑, 해외여행 등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며 프리미엄카드도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 중 하나가 된 것으로 보인다"며 "카드사는 수익성 악화, 비용 절감 등의 이슈가 맞물리며 프리미엄카드 라인업 출시 및 리뉴얼이 당분간 활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pearl@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