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KB국민카드는 지난달 31일 KB페이(Pay) 하나의 앱에서 쇼핑과 여행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라이프’탭을 신설했다. |
[에너지경제신문=박경현 기자] 카드사들이 조달금리 상승과 결제사업 수익 악화 등에 빠지면서 새 수익원의 활로로 플랫폼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카드사별로 쇼핑·여행 서비스부터 영상 콘텐츠 제공 등 생활 편의에 방점을 두고 경쟁적인 개발이 이어지는 추세다.
3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KB국민카드는 지난달 31일 KB페이(Pay) 하나의 앱에서 쇼핑과 여행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라이프’탭을 신설했다. 기존 KB국민카드가 운영 중인 종합쇼핑몰 ‘국카몰’과 여행 쇼핑몰 ‘라이프샵’을 함께 이용하도록 통합한 것이다. KB국민카드는 여행 상품 예약 시 △여행사 취급수수료(발권,환불,상담 등) 면제 △렌터카(일부 상품 제외) 예약 시 72시간 전 취소 수수료 면제 △제주도 항공 지연 시 렌터카 미사용 금액 환불 등 특화된 혜택도 함께 내세우고 있다.
롯데카드는 매출 관리와 다른 가게 분석 등 가맹점 운영을 돕는 모바일 웹 플랫폼 셀리를 운영 중이다. 또한 지난해부터 디지털회사로의 대전환을 선언하고 모바일 앱 ‘디지로카’에서 생활 편의 서비스를 잇따라 오픈하고 있다. 디지로카앱에서는 광역버스 예약, 시외버스 예매, 모바일 교통카드 이용을 가능케 해 교통 종합서비스로 고객잡기에 나섰다. 롯데계열사와의 협업을 강점으로 영상, 웹툰, 에세이 등 부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특색으로 내세우고 있다. 지난 6월에는 가전 등 상품 결제 시 일부를 최대 50개월에 걸쳐 나눠내고 남은 금액은 이용기간 종료 후 납부하는 ‘환승프로젝트’ 서비스를 시행했다. 중고 상품 상태에 따라 이용기간 종료 후 남은 납부금액의 전액이나 일부를 차감해주는 새로운 개념의 구매 서비스를 도입하며 수익구조로 연결한 사례다.
하나카드는 플랫폼 서비스 강화에 본격 팔을 걷으며 지난달 ‘원큐페이’에서 ‘하나페이’로 플랫폼 브랜드 이름을 변경했다. 기존 특화서비스인 여행 부분 확대에 더해 직구·인공지능(AI)추천 맛집 등 생활서비스를 확장했다. 해외 수수료 무료·환율우대 100%로 론칭 1년 만에 100만 가입자를 모은 ‘트래블로그’도 플랫폼에 반영했다.
신한카드는 대표 플랫폼 신한플레이의 비금융컨텐츠를 강화해 종합금융플랫폼으로의 변환에 나선 상태다. 신한플레이와 신한마이카 등 플랫폼 통합 월간활성이용자수(MAU)를 오는 2025년 2000만명까지 늘리는 것이 목표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놀이나 이벤트 등으로 플랫폼에 오래 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 궁극적인 목표"라며 "직접적인 수익보다 연계되는 수익을 기대 중으로, 일단 사용자 수를 늘려 플랫폼 영역에서 자리잡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카드는 앱 내 ‘라이프’ 탭에서 앱이 없어도 주문이 가능한 스타벅스, 버거킹 오더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 밖에도 쇼핑을 비롯해 보험, 렌탈, 여행, 웨딩 카테고리의 소비 편의를 돕는 서비스가 마련돼있다.
비씨카드는 새 수익원을 위해 최근 자체카드를 출시하고 카드론 등 대출 등 상품 운영에 나서기도 했다. 외국인 사용자 증가에 따라 자국에서 쓰는 카드 브랜드를 국내 비씨카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금융결제 영역을 넓히고 있다. 플랫폼 페이북을 통해서는 단순 결제위주 서비스를 넘어서 최근 대출과 쇼핑, 여행예약, 보험·카드 등 상품비교, AI투자비서 서비스 등 금융관련 서비스 확대에도 나섰다. 비씨카드 관계자는 "베트남 등 동남아 성공모델을 기반으로 중앙아시아로 서비스를 확대해 글로벌 결제 활성화를 위해 시스템을 확충하고 있다"며 "사업다각화 차원에서 볼때 결제플랫폼 영역의 확장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업계 일부에선 플랫폼 영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하는데 있어 회의적인 목소리도 나온다. 직접적인 수익으로 연결되기까지 투입비용과 노력에 따르는 부담도 차치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입장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최근 카드업계 전반적으로 본업에서의 수익성이 악화되다보니 다양한 부대사업으로 뛰어드는 것 같다"며 "당장은 수익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상황은 아니라서 어려움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고 말했다.
pearl@ekn.kr